고구마 표피썩음병 방지 토양관리 중요
고구마 표피썩음병 방지 토양관리 중요
  • 권성환
  • 승인 2022.03.21 10: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기적인 객토·이병주 제거, 토양 내 원인균 없애야
농가에서 발견된 표피썩음병
농가에서 발견된 표피썩음병

고구마 농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 표피썩음병을 막기 위해 토양 관리가 필요한 시기이다.

고구마 저장병 중 하나인 표피썩음병은 오염된 토양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이어짓기(연작)하는 경우 전염성 병해충이 늘어나 표피썩음병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

표피썩음병 발생을 예방하려면, 묵은 흙을 털어내는 객토 작업과 이상증상을 보이는 이병주를 제거해야 한다. 수확 후에는 흙갈이(경운) 작업으로 지속적인 토양관리를 한다. 

내병성이 강한 고구마 품종을 재배함으로써 표피썩음병 발생을 예방할 수도 있다. 외래 품종인 ‘베니하루카’보다 국산 품종인 ‘진율미’, ‘신건미’, ‘호감미’가 병에 강하다. 

농촌진흥청은 재배 토양 내에 존재하는 병원균(Fusarium균)이 수확 후 고구마에 붙은 채 저장될 때 표피썩음병이 발병한다는 사실을 처음 입증했다. 또한, 토양 내 균 농도가 증가할수록 병반 크기도 커지는 것을 확인했다.

표피썩음병 병원균(F. commune, F. solani, F. oxysporum)이 붙은 고구마는 저장 2개월 뒤 증상이 나타났다. 증상을 확인했을 때 토양의  원인균 농도는 10⁴ conidia/mL 이상이었다. 

농촌진흥청은 저장병 발병이 토양 내 표피썩음병을 일으키는 균 농도와 관련이 있다고 덧붙였다.

고구마 재배 토양 내 미생물도 표피썩음병 발생에 따라 크게 변화했으며, 발병률이 높은 토양에서는 방선균류가 감소했다. 

농촌진흥청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송연상 소장은 “2~3년씩 계속 같은 땅에서 고구마를 키우면 토양 내 양분은 줄어들고 병해충 발생은 늘어난다.”라며 “지속적인 토양 관리가 품질 좋은 고구마를 수확하는 지름길”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