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가뭄 지속 … 농업용수 공급 ‘비상’
겨울 가뭄 지속 … 농업용수 공급 ‘비상’
  • 권성환
  • 승인 2022.03.14 09: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평년 대비 14.7% … 49년만에 가장 적어
행안부 “용수 부족 이어지지 않도록 적극 지원하겠다”
생육 부진 현상 나타나는 월동작물(사진= 완주군 제공)
생육 부진 현상 나타나는 월동작물(사진= 완주군 제공)

지난해 12월 이후 겨울 가뭄이 지속되면서 영농철 용수 공급에 비상이 걸렸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이후 전국 강수량은 평년대비 14.7%인 13.3㎜ 수준으로, 1973년 기상관측 이래 49년 만에 가장 적었다. 특히 지역적 강수량 편차로 인해 전남, 경남 및 강원영동 지역을 중심으로 기상가뭄이 나타나고 있다.

향후 3~4월 강수량은 대체로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예정이며, 5월은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돼 일부 중부지역으로 기상가뭄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정부는 강수량 부족으로 생육 부진이 우려되는 마늘, 양파 등 노지 월동작물에 가뭄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저수지·양수장 등을 활용해 선제적으로 용수를 공급 중이다.

또 저수율이 평년 대비 70% 이하로 가뭄 위기경보 ‘관심’ 단계인 전남 신안군은 저수지의 양수저류, 배수로에 물가두기 등으로 용수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작년부터 가뭄 위기경보 ‘경계’ 단계인 충남 보령댐은 도수로 가동 및 하천유지용수 감량으로 용수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관리한다.

대구·경북 지역에 식수를 공급하는 청도 운문댐의 경우 지난 1일 기준 저수율이 42.3%(평년대비 100.4%)로, 앞으로도 강수가 적을 경우 가뭄 단계가 ‘관심’ 단계로 진입될 전망이다.

김성중 행정안전부 재난대응정책관은 “지난 12월부터 평년보다 매우 적은 수준의 강수로 기상가뭄이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강수 부족이 분야별 용수 부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현황을 점검하고, 일선 현장의 지원 필요사항을 파악해 사전대비하고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