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수 장관, 농업기술 산업화 현장 점검
김현수 장관, 농업기술 산업화 현장 점검
  • 윤소희
  • 승인 2022.02.14 10: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구 스마트 농기자재 생산현장 방문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지난 10일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유비엔을 방문해 무선 감지기, 클라우드 기반 온실관리 시스템 등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있다.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지난 10일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유비엔을 방문해 무선 감지기, 클라우드 기반 온실관리 시스템 등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있다.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단순 자동화를 넘어 데이터·인공지능으로 첨단화되고 있는 농업 기술 산업화의 현장을 확인하기 위해 나섰다.

김 장관은 지난 10일 대구광역시를 방문해 스마트팜 정보통신기술(ICT) 기자재·시스템, 전기 농기계 등 스마트 농기자재 생산 현장을 점검하고 현장 관계자를 격려했다.

이날 독자적인 스마트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유비엔을 방문해 무선 감지기, 인터넷 자원 공유(클라우드) 기반 온실관리 시스템 등의 운영 현황을 살펴봤다. 

김 장관은 “고령화, 기후변화 심화에 따라 농업의 생산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농업의 필요성이 지속 증가하고 있다”며 “스마트팜 기업이 우수한 기술·제품을 자유롭게 개발·실증하여 보급할 수 있는 여건을 적극적으로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김 장관은 “지난해 1차 지역을 완공한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실증 단지에서 실증 공간·장비·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표준화된 데이터의 수집·공유를 통해 기업의 데이터 활용을 지원하는 한편, 국내 스마트팜 기업의 해외 진출과 연구·개발 지원도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농업 분야 탄소중립을 위한 전기 농기계 개발·보급에 앞장서고 있는 ㈜아세아텍을 방문해 전기 자율주행형 방제기 등의 생산 현장을 점검하고 현장의 의견을 들었다.

이 자리에서 김 장관은 “탄소중립에 대응한 농업·농촌 분야 구조 전환은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이며, 농기계 분야에서도 내연기관을 대체할 친환경 전기 농기계 등을 빠른 속도록 개발·보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앞으로 전기 및 수소전지용 농기계에 대한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농기계 임대사업소 등에 전기 농기계 등을 보급함으로써 개별 농가로 확산시켜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국산 스마트 농기자재 기술력이 세계적 수준이 될 수 있도록 관련 기업이 경쟁력 있는 기술·장비 개발에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