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생산한 단기소득 임산물 16개 품목을 대상으로 한 임산물소득조사 결과, 산지재배 품목은 두릅, 노지재배는 산딸기, 시설재배는 참나물의 소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청장 최병암)은 지난해 생산한 단기소득 임산물 16개 품목을 대상으로 한 임산물소득조사 결과를 지난달 28일 발표했다.
임산물소득조사는 2014년 시범조사를 시작으로 2020년 국가승인통계(제136036)로 지정됐으며, 16개 품목 재배 임가의 수입과 경영비 등을 조사하고 있다.
품목과 재배유형에 따른 기준면적당 경영성과를 조사한 결과, 산지재배 품목 중 두릅은 소득이 1ha당 1,416만7천 원으로 가장 높았고, 그 외 산마늘은 1,391만 원, 고사리는 813만1천 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두릅은 고용 노동을 하지 않고 대부분 자가 노동으로 경영하기 때문에 다른 품목에 비해 소득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노지재배 품목 중 산딸기는 소득이 1ha당 3,893만4천 원으로 가장 높고, 독활 2,578만9천 원, 마 2,292만9천 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산딸기는 가지치기, 수형 관리 등 관리 작업이 많아 경영비가 많이 들지만, 상대적으로 판매 단가도 높기 때문에 소득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시설재배 품목은 참나물의 소득이 1ha당 5,319만2천 원, 취나물은 1ha당 4,968만1천 원으로 나타났다.
시설재배는 집약적인 형태를 보이므로 높은 소득을 얻을 수 있지만, 초기 영농시설 구매 비용이 많이 드는 특징을 보였다.
이번 조사결과는 산림청 누리집>행정정보>산림통계에서 확인하거나 내려 받을 수 있다.
강대익 정보통계담당관은 “단기 임산물 재배 임가의 소득을 높이고 경영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정책 발굴을 위하여 임산물소득조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