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표고 재고 많은 편
■재배동향과 전망△표고자목 확보방법 다양화, 성형종균 구입 선호=표고자목 확보방법으로는 동일시군에서 구입이 42%, 직접 벌채·생산한 표고자목이 31%, 타 시군에서 구입이 26%로 다양하게 나타났다.올해 접종한 표고버섯 종균의 구입형태는 병종균 5%, 성형종균 92%, 기타(식균기) 3%로 대부분의 재배자들이 성형종균 구입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월 표고 생산량 작년 동기보다 크게 감소=3월 생표고 생산량은 작년 동기보다 18.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품질은 작년에 비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감소 원인은 노목의 증가, 기후변동으로 인한 재배관리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3월 건표고 생산량도 작년에 비해 18.1% 감소했으나, 품질은 작년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표고버섯 수확가능 표고골목의 82%는 시설재배=올해 수확 가능한 표고 골목의 재배형태는 노지재배 18%, 시설재배 82%로 시설재배의 의존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표고생산자들이 기후 변동에 따른 위험성이 높은 노지재배 보다는 안정성이 높은 시설재배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4월 하순 및 5월 표고버섯 생산량 작년 수준 유지=표고 생산량은 전체적으로 작년 동기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표고의 수익성 하락, 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생표고 생산보다는 건표고로 생산하려는 임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표고의 생산이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가격동향 및 전망△4월 상순 생표고 가격 작년 동기보다 크게 하락=4월 상순 생표고 중품의 평균도매가격은 4kg당 13,168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25% 하락하였다. 가격하락 원인은 3월 하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여 갑작스런 공급의 증가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3월 생표고의 가락시장 반입물량은 작년 동기보다 2% 증가했고, 생표고 중품의 평균도매가격은 4kg당 14,319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6% 상승했다. 3월 생표고 가격은 중순에 상승하였으나 이후 반입량이 증가해 다시 하락했다. △3월 건표고의 산지가격 작년 동기보다 다소 상승=건표고(동고 중품)의 3월평균 산지가격은 24,250원/kg으로 작년 동기보다 18.6% 상승했다. △생표고 가격은 약보합세 유지=기후(고온현상) 영향으로 생표고의 조기 출하가 많고 중·고온성의 표고버섯 발생이 일찍 나타나 생표고 가격은 약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표고 재고물량이 많고 출하량의 변동이 심해 가격이 당분간 오르내리기를 반복할 전망이다.■수출입 동향 및 전망△3월의 표고 수입량 작년보다 크게 감소=생표고 수입은 11톤이 수입되어 작년 동기에 비해 다소 감소하였다.건표고 수입량은 작년 동기 대비 47.2% 감소했다. 중국산은 소폭 감소한 반면 북한산은 통관승인이 나지 않아 크게 감소하였다.조제표고는 208톤이 수입되어 작년 동기보다 33.8% 감소하였다.△작년 동기 대비 2월의 건표고 수출량 증가=건표고 누적 수출물량은 작년 동기보다 93.1% 증가하였다. 국내 건표고의 품질 향상으로 일본으로 수출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표고버섯의 수입량 줄어들 전망=올해 국내 표고버섯 가격이 약세를 유지하고 있고, 국내산 표고의 품질향상과 가격경쟁력 제고로 전체 수입량은 작년보다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종합전망△3월 생표고 생산량은 작년 동기보다 크게 감소=3월 생표고 생산량은 작년 동기보다 18.4% 감소했으나 품질은 작년에 비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4월 하순과 5월의 건표고 생산량 증가 전망=생표고의 수익성 하락과 관리의 어려움으로 건표고를 생산하려는 임가가 많아 건표고 생산량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표고 가격은 약보합세 유지=재고물량이 많고 출하량의 변동이 심해 생표고 가격은 약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고버섯의 수입량 줄어들 전망=국내 표고버섯 가격이 약세를 유지하고 있고, 국내산 표고의 품질향상과 가격 경쟁력 제고로 전체 수입량은 작년보다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