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엽록소 측정기 이용 ‘후지’ M26 잎의 질소함량 진단 ■▲사과원 영양관리의 문제점사과원 시비 실태는 화학비료는 물론 가축 부산물 및 유기질 비료의 과다 사용으로 토양 중의 질소함량이 과다하여 사과나무의 신초가 도장하고 과 번무하여 꽃눈이 형성되지 않거나 꽃눈이 부실하여 생산성과 품질향상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또한 토양 질소가 필요 이상으로 많으면 용탈되어 수질 환경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환경적으로 부정적인 면이 부각될 수 있다. 따라서 적기에 적량의 양분을 공급하여 양분 효율도 높이고 과실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일 필요가 있다. ▲잎의 질소함량 진단 필요성사과나무 잎의 질소함량은 과실 품질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많은 농민들은 사과나무 잎의 질소상태에 대한 실시간 영양진단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지금까지의 실험실 분석 방법은 정밀성은 유지할 수 있으나 시료 채취, 조제, 보관 등에 세심한 관리와 분석하는데 정밀기기 및 분석 전문가가 필요하며, 비용도 많이 들고 시간도 많이 걸리기 때문에 영양진단에 대한 적기 처방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정확성은 조금 떨어지지만 현장에서 필요한 시기에 짧은 시간을 투입하여 지속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엽록소 측정기(SPAD-502)를 이용한 사과나무 잎의 질소함량 진단법잎의 질소는 클로로필에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클로로필함량과 질소함량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빠르고 쉽게 잎의 녹색정도를 분별할 수 있는 엽록소 측정기(chlorophyll meter)를 활용하여 사과나무 잎의 질소함량을 추정할 수 있다. 엽록소 측정기는 녹색의 정도에 따라 수치가 다르게 나오도록 만들어진 것으로 잎의 질소함량에 따라 녹색의 정도가 다른 점을 착안하여 즉 잎의 녹색 정도와 잎의 질소함량과의 상관관계가 높기 때문에 활용할 수 있다. 이 측정기는 자그마한 기기로 손쉽게 가지고 다닐 수 있으며 잎을 따지 않고 현장에서 같은 잎을 계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과나무 잎의 질소함량의 흐름을 파악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측정 방법은 측정할 나무를 선택하여 과실이 달리지 않은 1.2~1.5m 높이의 신초 중간의 잎을 신초 당 2매를 선택하여 30회 내외 측정하여 평균값을 이용한다. 엽록소 측정기에 의한 측정은 잎의 두께와 수분함량이 시기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측정값에 차이가 있고 질소함량과 상관관계도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시기별로 측정값과 질소함량 추정식이 달라져야 한다. 시기별 엽록소 측정기의 측정값과 잎의 질소함량 범위를 나타낸 것으로 측정값 범위보다 높고 낮음에 따라 잎의 질소함량이 많고 적음을 알 수 있다.이는 ‘후지’/M.26 사과나무의 생리 특성상 생육 초기에 잎의 질소함량은 많으나 잎의 두께는 얕고 클로로필함량이 적기 때문에 엽록소 측정기의 측정값은 적게 나오는 것이다. 이 수치는 ‘후지’/M26 사과나무의 기준치로 활용이 가능하며 품종이 달라지면 추정식이나 측정값의 범위가 달라지므로 품종별로 추정식을 만들어야 확대 이용이 가능하다. ▲시기별 잎의 질소함량 측정에 의한 시비처방과수원의 시비처방은 토양분석을 통하여 실시하는 것이 기본이나 이는 연중나무가 필요한 양분의 양을 흡수량을 고려하여 시비량으로 산정한 것이다. 영년생인 사과나무는 수체의 영양상태가 중요함으로 잎의 실시간 질소진단이 필요하다.생육 단계별 잎의 질소함량 측정은 엽록소 측정기에 의한 측정값이 5월 하순에 43.7~49.4, 6월 하순 46.5~50.4, 7월 하순 47.5~52.4, 8월 하순 50.5~53.4가 적정 범위이며, 이때 시기별 잎의 질소 함량은 5월 하순에 27.2g/kg, 6월 하순에 26.1g/kg, 7월 하순에 25.2g/kg, 8월 하순 24.3g/kg을 나타냄으로 이들 수치보다 각 시기별 측정치가 높으면 질소 추비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5월의 측정값이 기준치보다 높을 때는 수확기에 과실의 착색이 나쁘고 당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어 생육 초기인 5월에 잎의 질소 상태를 측정함으로서 수확기 과실 착색을 예측할 수 있고 추비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5월의 측정값이 49를 초과하면 전년도 과비에 의하여 수체 내에 질소가 많이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5월의 질소 추비량은 줄이는 것이 좋다.또한 가축 부산물비료나 유기질 비료를 사용한 과수원에서는 질소 비료가 서서히 이용되기 때문에 추가로 시비를 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유박비료나 쌀겨 등을 시비했을 때도 차이는 있겠으나 완효성 질소를 3~4%정도 함유한 비료이기 때문에 화학비료 사용량을 줄여야 한다.사과나무 잎의 질소 함량이 적절하게 유지되면 수관 내부의 사과도 그림 2와 같이 착색이 좋게 되나 그렇지 못하면 그림 3과 같이 착색이 좋지 못하여 상품성이 떨어진다. 여기에 사용된 엽록소 측정기(SPAD-502)는 일본제품이나 최근에는 국내 제품도 만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