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불신 깨기 위한 교육 필요하다”
“소비자 불신 깨기 위한 교육 필요하다”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9.01.02 11: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PLS제도, “현장에서도 무리없이 성공 연착륙 가능”
‘새로운 기회이자 농산물안전성 시대 개막신호탄 될 것’
본지 신년특집 지상좌담회서 제기

우리나라 농산물안전성과 농약사용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경향이 있어 소비자의 신뢰를 높이기 위한 농산물을 비롯한 식품안전교육도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농산물 시장은 농업의 방식을 불문하고 농산물이 안전하지 않으면 설 곳이 없는 상황으로 이미 안전을 보장하고 있으나, 소비자들의 선입견은 쌓여가기에 막연한 불신만이 쌓여가고 있다는 것이다.

본지는 오는 1일 PLS제도의 전 품목 도입이 시작되면서 안전성을 인정받는 등 생산자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해 ‘농산물 안전성 시대를 연다’를 주제로 지상좌담회를 개최했다.

정혜련 농림축산식품부 식생활소비정책과장은 “농산물 먹거리에 있어 안전성은 중요한 가치”라며 “PLS 시행은 소비자 신뢰 회복의 계기가 되어 궁극적으로 우리 농업의 경쟁력 강화 등 농업인의 이익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규승 충남대학교 명예교수는 식품안전교육도 학교의 교육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규승 교수는 “환경교육 효과에서 본 바와 같이 훨씬 높은 농산물 안전성의 이해도를 나타낼 수 있다”며 “다만 아직 학제에 포함되지 않은 내용으로 소위 위기대처(Risk Communication)를 강화해 농약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도록 노력하는 방법이 유일하다”고 조언했다.

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은 “모든 작물을 친환경으로 재배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는 것을 소비자 및 소비자단체들도 충분히 인지하고 있어 농약사용을 어느 정도 용인하고 있다”며 “농약사용이 무조건 잘못됐다고 생각하는 선입견에서 탈피해야 한다”고 공감했다.

현장에서는 농약 사용은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과 농업소득을 위해서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불가결한 요소이지만 안전사용규정을 지키고 있어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손규삼 전국품목농협조합장협의회장(대구경북능금농협 조합장)은 “혼합사용도 작업과 방제의 효율상 필요불가결하다고 보지만 기상환경에 맞춰 살포량이나 횟수가 적절히 조절되고 있다”며 “최근에는 효율적인 방제 지도가 이루어져 과거처럼 무분별하게 살포하는 경우는 없고 필요이상 많은 농약을 혼용하지는 않는 추세”라고 밝혔다.

박성규 한국배연합회장(천안배원예농협 조합장)은 “농산물은 자연과 함께하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어 완벽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는 없다고 생각된다”면서도 “안전성이라는 문제로 대한민국의 농업이 위축되는 일이 없는 현명한 제도시행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고 지적했다.

박만수 강릉원예농협 조합장은 “소비자들이 눈으로만 보는 농산물이 아닌 맛과 속이 알찬 농산물을 선호하는 구입행태를 보이면 농약 사용량도 줄어들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에 박학순 한국작물보호협회 이사는 “문명의 이기는 종류가 무엇이든 ‘올바른 사용법 준수’를 통해서 안전성이 담보되는 것이지 그 자체가 안전성을 담보하지 않는다”며 “농약불신에 대한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오남용에 의한 일부에서의 부작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제는 산․학․연․정 모든 관계자가 농약안전성으로 무장해야 하며 떳떳하고 당당해야 한다”며 “농약에 위험성이 있다면 그건 ‘관리된 위험’”이라고 밝혔다.

한편 농식품부는 고령농 인식 확산을 위해 찾아가는 경로당 순회교육을 실시하고, 농업현장과 접점에 있는 농약 판매상을 통해 농업인들이 농약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혜련 과장은 “PLS가 농업현장에 연착륙되고 농가 피해가 없도록 교육·홍보를 집중추진해 나갈 예정”이라며 “규제와 단속 위주가 아닌 계도와 교육을 중심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수명 국립농업과학원 농자재평가과장은 “농진청에서 시행하는 소면적 작물 농약직권사업은 시행이후 2017년까지 약 20년간 1천223개의 농약을 등록했다”며 “작년에는 농촌진흥청 농약업무담당부서 전 직원이 매진해 1천670개의 농약을 등록시켰다”고 설명했다.

/김다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