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밭농사=물이 잘 빠지지 않는 논보리 포장은 비가 많이 내릴 경우 습해에 대비해 수시로 배수로를 정비하도록 한다. 중부지방의 봄 감자 아주심는 시기는 3월 하순~4월 상순으로 심기 하루 전에 육묘상에 물을 충분히 주어 묘를 채취할 때 뿌리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한다.고구마 싹이 나온 묘상은 23~25℃ 정도의 온도와 70%의 습도를 유지하고 햇빛을 충분히 받아 웃자라지 않도록 하고 싹이 5~10㎝ 되었을 때는 따뜻한 날 한낮에는 2~3시간 환기를 시킨다.시설 재배 옥수수는 낮 동안의 온도를 높게 유지해 주어 초기생육을 촉진시켜주고, 밤에는 보온관리를 잘 해주어 온도가 10℃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고추=고추 육묘상은 낮에는 환기를, 밤에는 보온을 잘 해주고 모가 자람에 따라 단계별로 적정 온도를 유지해 주도록 한다.모판의 온도가 15℃ 이하로 낮거나 습도가 높으면 잘록병이 많아지게 되므로 온ㆍ습도 관리에 주의한다.모가 웃자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모 간격을 넓혀 햇빛을 충분히 받도록 하고, 물주는 횟수는 줄이며 오전에 주도록 한다.남부지방에서 터널재배를 하려는 농가는 터널용 골재나 피복비닐, 고정끈 등 자재를 준비해 정식에 필요한 포장을 준비하도록 한다.△시설 채소=작물이 햇빛을 최대한 많이 받도록 해 주고, 한낮에는 환기를 실시해 하우스 안의 온도가 30℃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관리한다.하우스 안의 습도가 높으면 곰팡이병의 발생이 많아지게 되므로 환기를 잘하여 습도를 낮춰주고, 물주기는 가급적 점적관수 시설을 이용한다.황사 현상이 발생하면 비닐, 온실유리 등 시설 지붕에 먼지가 쌓여 햇빛 투과량이 부족하게 되므로 물로 씻어 투광률을 높여 주도록 한다.△마늘·양파=비가 많이 오더라도 습해를 받지 않도록 논에 심은 마늘·양파 등 배수가 불량한 포장은 습해 예방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도록 한다.난지형 마늘과 양파는 더 이상 웃거름을 주지 않도록 하고, 한지형 마늘은 4월말까지 생육이 부진한 포장만 웃거름으로 10a당 요소 6㎏, 황산칼리 3㎏을 비닐 위에 골고루 뿌려 주도록 한다.△과수=병해 방제를 위하여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할 과원은 기계유 유제를 뿌린 후 21일이 지난 다음에 살포해야 안전하다. 올해 겨울철 기온이 높아 꽃피는 시기가 전년보다 5~7일정도 빠를 것으로 전망되며, 서리 피해를 받으면 안정적인 생산이 안되고 소질이 좋은 중심과의 착과가 어려워 품질 좋은 과실 생산이 어려우므로 서리 피해에 사전대비를 철저히 하도록 한다.서리 피해가 예상되는 날은 방상선풍기를 가동하거나 스프링클러를 이용 물뿌리기, 왕겨 태우기 등으로 피해를 방지하고 왕겨를 태울 때는 산불 및 인근 나무가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화훼=봄철에 한창 출하중인 페튜니아, 팬지 등 초화류 분화는 꽃봉오리가 피기 시작할 때 물을 충분히 주어 출하하여 꽃을 오랫동안 볼 수 있도록 한다.진딧물, 응애류 등 병해충을 방제를 위해서는 수시로 하우스 포장을 자세히 살펴보고 병해충이 발생되었을 때는 초기에 방제하도록 한다.하우스 안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작물이 고온장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온도가 올라가고 햇빛이 강한 날에는 환기 관리에 주의한다.국화에서 정상적으로 꽃이 피지 못하는 버들눈은 햇빛이 부족했거나 단일 처리 초기에 장일 조건이 되었을 때 많이 발생하므로 알맞은 일장 상태를 유지하고 지나친 고온이 되지 않도록 관리한다.△느타리버섯=느타리버섯 균 기르기 작업이 끝난 농가는 빠른 시간 내에 품종별 생육 적온으로 온도를 내려주고 버섯 발생초기의 공중 습도를 95% 정도 유지하도록 해 버섯 첫 발생을 촉진시키도록 한다.버섯이 처음 발생되기 시작하면 온도를 13~18℃, 공중 습도는 85~90%로 낮추어 주면서 버섯 생육에 따라 물주기를 조절해 주도록 한다./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