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추=고추씨를 파종한 후 한 달 이상 지난 고추 육묘상은 낮에는 23~28℃, 밤에는 20℃ 정도가 되도록 온도를 관리하여 모가 웃자라거나 저온 장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고추모 웃자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육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해서 밀식이 되지 않도록 하고 햇빛을 잘 받을 수 있도록 관리한다. 모판흙이 마르면 모판흙 아래까지 스며들도록 20℃ 정도의 미지근한 물을 오전 10~12시 사이에 주도록 한다. 물주는 횟수는 가능한 적게 하되 한번에 충분히 주고, 질소질 비료를 너무 많이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요즘에는 낮과 밤의 온도차이가 커서 잘록병(입고병)발생이 우려된다. △마늘·양파=비가 자주 내려 과습이 우려되는 포장이나 논에 재배하는 마늘·양파는 배수구 정비를 잘해 습해 예방에 주의하도록 한다. 마늘·양파의 웃거름을 너무 늦게까지 주게 되면 영양 생장이 계속되어 구가 커지지 않고 수확시기가 늦어지게 되므로 난지형 마늘과 양파는 3월말까지 웃거름주기를 끝마치도록 한다. △시설 채소=비닐하우스의 피복물은 아침 일찍 걷어 주어 햇빛을 충분히 받도록 하고, 한낮에는 환기를 실시하여 하우스 안의 온도가 30℃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관리한다. 밤에는 보온 시설을 잘 이용하여 난방 에너지를 절감토록 하되 열매채소는 12℃, 잎채소는 8℃이상이 유지되도록 관리한다. 봄철에는 지역에 따라 강한 바람이 우려되므로 고정끈을 튼튼히 매주도록 하고, 바람이 강하게 불 때는 하우스를 완전히 닫고 환기팬을 가동하여 피복비닐이 하우스 골재에 밀착되도록 관리한다. 봄비가 자주 내리거나 구름 낀 날이 많으면 곰팡이성 계통의 병해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위주로 방제토록 한다. △과수=병해 방제를 위하여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할 과원은 기계유유제를 뿌린 후 1개월이 지난 다음에 살포해야 안전하다. 사과 부란병은 주로 4~5월에 줄기나 가지에 발병되어 나무를 죽이거나 세력을 약화시켜 사과나무에 큰 타격을 주는 병이므로 방제를 철저히 하도록 한다. 부란병의 병원균은 주로 가지를 자른 부위, 벌레 먹은 부분의 상처를 통해 침입하게 되므로 나무를 잘 관찰하여 병든 부위와 병균이 침입하지 않은 일부를 포함하여 충분히 파내고 도포제를 발라 준다. 서리 피해를 받으면 안정적인 생산이 안 되고 소질이 좋은 중심과의 착과가 어려워 품질 좋은 과실 생산이 어려우므로 방상선풍기, 스프링클러 등 사전에 시설물을 점검하도록 한다. △화훼=국화를 출하할 때는 등급별로 선별하되 길이가 85㎝ 이상인 것은 1등급으로 분류해 출하토록 한다. 중산간지대에서 여름철에 안개꽃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3월중에 아주심기를 한다. 수확 중인 안개꽃은 하우스 온도를 낮에는 20~25℃, 밤에는 10℃ 이상 유지되도록 관리하고, 길이가 50~70㎝ 될 때 수확한다. 시설화훼류에서 온실가루이, 오이총채벌레, 꽃노랑총채벌레, 굴파리 등 고온성 해충의 방제를 위해 황색 끈끈이를 설치해 예찰을 강화하고 이들 해충이 발견되는 포장에서는 적용약제를 3~5일 간격으로 3회 연속 약제를 바꿔가면서 뿌려주도록 한다. 실내원예는 햇볕이 점점 강해지고 햇빛 비치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낮 동안에는 환기를 하고 화분을 잘 관찰해 물이 부족하지 않도록 관수한다. △버섯 재배=봄철 느타리버섯 균 기르기 작업을 할 때에는 배지온도 유지관리가 중요한데, 초기 5~7일간은 22℃, 중기 10~12일간은 23~24℃, 후기 10~12일 간은 25~27℃ 정도로 유지하여 주도록 하고, 균 기르기 중에는 수시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해 균의 활력을 높여 주도록 한다. 요사이는 밤낮의 온도변화가 심하므로 저온이나 고온이 되지 않도록 환경관리 시스템을 점검하도록 한다. 균이 자라는 기간에는 균상의 병 발생유무를 수시로 살펴보고, 발견 시에는 초기에 예방할 수 있도록 조치하며, 버섯파리 예방을 위해서는 방충망, 또는 유살 등을 설치하거나 기피제를 설치하여 버섯파리를 예방하도록 한다.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