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요의 현장 애로기술(11)
서정요의 현장 애로기술(11)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07.03.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설토마토 하엽 황화 고사전라북도 중심도시 근교에서 시설토마토 재배를 하고 있는 어느 농가로부터 토마토의 잎이 갑자기 시들며 황화 고사하는 이상증상이 발생하고 있어 그 원인을 밝혀 달라는 지역 농업기술센터의 요청에 따라 현장기술지원을 한 사례이다.이번에 우리가 찾아 간 곳은 전라북도 중심부 도시근교의 넓은 평야에 자리 잡은 대단위 비닐하우스 재배단지였다. 피해가 발생한 2농가는 시설하우스에서 10년간 계속 토마토를 재배해 오는 과정에서 여태까지 별다른 문제가 없었는데 웬 날벼락인지 모르겠다고 하였다.그동안 두 농가에서 추진해온 경종상태를 조사해본 결과 다 같이 작년 토마토 수확 후 2개월 정도 담수했다가 밧사미드로 토양소독을 하고, 밑거름으로 유박퇴비 600kg/10a와 우분퇴비 시용, 11월 말 B-블록킹대목에 레드킹 품종을 접목하여 70일 육묘한 모종 2,500주(100×40cm)/ 10a를 정식하고, 폴리피드액비와 영양제인 엄마손과 치료사를 2주 간격으로 관주하였다.그리고 하우스의 야간의 최저온도는 14℃로 설정했고, 관수는 액비 겸용 점적관수 시설로 하였다. 병해충 방제를 위한 살충제는 진삼이, 응삼이 2회, 온실가루이 방제로 진압+ 선초골드+ 유이파워+ 한방토를 섞어 뿌리고, 시들음증상 발생 후에는 ①한방토+신비골드 ②엄마손 ③광부자 ④발그니를 각 1회씩 관주하였고, 살균제로서는 흰가루병과 잎곰팡이 방제 관련 농약을 뿌렸으며, 그 외에는 착과증진을 위하여 토마토톤도 처리했다는 것이다.그러나 이상증상은 아래 엽부터 황갈색으로 변하며 점차 청고병 증상과 비슷한 시들음 현상이 발생하였다고 한다.전문가들이 살펴 본 바에 의하면 피해증상은 먼저 아래 엽 가장자리에 황화현상이 시작돼 노랗게 말라 들어가는 증상이 점점 진전됨과 동시에, 작은 엽맥 사이에 백화증상과 더불어 주 엽맥 사이의 엽육에 괴저증상을 나타났고, 주 엽맥은 녹색으로 남아있었으나 엽은 말리면서 우글쭈글 해지고, 가장자리를 따라 갈변증상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A농가의 경우 황화 초기 토마토의 지하 부는 세근이 거의 없어 뿌리의 활력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에서 햇빛이 있는 낮은 심하게 시들면서 점차 황화 고사한 것이 전체 900평 중 300평(2,500주) 정도나 되었고, 인접한 B농가는 1,600평이 4엽 이하에만 가벼운 황화증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한편 농가들의 이러한 피해현상에 대한 원인규명을 위하여 토양분석을 해본 결과 토양화학성은 이상증상이 심한 곳과 그렇지 않는 곳을 막론하고, 두 농가 모두 염류농도가 아주 높아 10년 연작으로 인해 염류가 심하게 집적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치환성양이온 함량이 유리상태로 과다하게 집적됐으며, A농가의 경우는 과다한 칼슘과 마그네슘의 흡수로, 칼리의 토양 내 함량은 부족하지 않았으나 엽은 심각한 결핍증세가 나타나고 있었다.잎의 무기성분 분석에서는 발생정도와 상관없이 인산과 칼리는 함량 부족, 철분과 망간은 과잉 흡수상태였고, 특히 철분의 농도가 7~8배나 높은 것은 이미 식물체가 고사상태에 이르게 됐던 것으로 볼 수 있고 또 칼리의 함량이 식물체 내 적정의 1/10정도 밖에 안 된 것은 토양에 칼리가 적정보다 3~4배나 있으나 칼슘과 마그네슘의 과잉 흡수에 의한 길항작용으로 칼리의 흡수가 현저히 억제되어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기상조건은 평년에 비해 따뜻한 기온과 충분한 일조시수로 토마토생육에는 유리했으나, 이상증상 발생을 촉진시키는 환경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었다.그리고 관개용수 분석에서는 염소, 황산기, 철분 및 망간의 함량이 적정수준의 범위를 넘어선 것은 이번 생육 이상증상 발현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되었다.종합적으로 볼 때 이번 이상증상은 10년에 걸친 토마토 단일 품목의 장기연작을 하는 과정에서 다수확을 위한 다비 재배로 초래된 대표적인 염류집적 장해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금후대책으로 지나치게 집적된 염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녹비작물재배, 수확 후 2~3개월간은 논 상태로 담수해 염류를 용탈시키거나 심토 뒤집기, 객토 등 가능한 방법을 모두 이용하여 최대한 단기간에 제염을 해야 할 것으로 보며, 그 외 친환경제제라는 각종물질의 지나친 투입도 자제해야 할 것으로 본다.아울러 본 토마토 재배포장에서는 매년 농업기술센터를 통한 토양검정과 합리적인 시비처방으로 토양 내 필수원소 간의 균형을 이루게 해 작물생육에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필수과제로 지적 되고 있다.<농진청 고객지원센터 원예·환경팀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