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촌진흥청은 기후변화가 작물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여러모로 분석하고, 지구온난화에 대응한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농업 생산, 생태계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작물별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열대작물인 벼는 온도가 높아지면, 조생종 재배지대는 중생종 재배지대, 중생종 재배지대는 만생종 재배지대로 바뀔 것이고, 온도가 상승함에도 현재의 재배시기를 고수하면 쌀의 소출은 등숙기에 고온 때문에 20~30% 감수되지만, 등숙에 알맞게 재배시기를 옮기면 약 18%의 증수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보리는 재배 한계지가 북상하면서 가을보리 재배한계선이 해안선을 따라 수원, 충주까지 북상했으며, 겉보리는 철원에서 충주까지 재배 한계지가 확대되고 있다.사과와 배는 만개기가 빨라지고, 만개 소요일수가 짧아지며, 납작한 사과 생산이 증가하면서 착색도 불량해져 품질저하가 예상된다.기온상승에 따른 품질변화는 한반도의 사과재배 적지에도 변화를 가져와 현재 재배면적 2만7천ha가 온도가 3℃ 상승하면 1만5천ha로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또한 제주도에서만 재배되던 원예작물이 남해안지역으로 북상하고 있는데 제주 명물인 한라봉이 전남 고흥, 경남 거제 등지에서 재배되고, 월동배추는 전남 해남지역에서, 겨울감자는 전북 김제에서 재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