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농촌진흥청(청장 김인식)은 매년 봄철에 날아오는 황사에 대비해 농작물 피해 및 가축 질병발생을 최소화하고자 ‘황사에 대비한 농작물 및 가축관리 요령’에 대한 교육 및 홍보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2007년도 기상청의 장기예보에 따르면 황사 발원지인 중국 북부 내륙지역 및 내몽고지역의 겨울철 기온이 평년보다 높게 유지되고, 매우 건조하여 황사 발생 발생일수는 평년보다 많겠으며, 4월에 발생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황사발생으로 인해 피해가 우려되는 농작물 및 가축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농촌진흥청은 전문지도요원 등 각종 공직자 교육 때 황사교육을 포함해 농·축산업인이 황사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황사 발생이 심할 경우 농작물 및 가축의 관리요령을 숙지시킴으로써 황사가 발생할 때 신속하게 대응해 황사로 말미암은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했다.그동안 농촌진흥청은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황사 특별연구팀’을 운영해 황사책자를 한·중·일·영문판으로 발간했고, 각종 홍보자료를 통해 농업인에게 대응요령을 홍보한 바 있다.황사현상은 광합성 장해로 말미암은 농작물 피해와 비닐하우스 광 투과율 저하로 작물생육을 저해할 수 있으며, 공기 중의 미세분진(황사입자)으로 인한 가축 호흡기 장애 및 안구질환 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황사 발생 때 농업인이 지켜야 할 대응요령으로는 시설재배농가는 비닐하우스, 온실 등 농업시설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닫아 황사 유입을 막고, 피복재 위에 쌓인 황사를 물로 깨끗이 씻어 주어야 한다.축산농가는 축사의 창과 출입문 등을 닫고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적게 하고, 황사가 끝난 후 1~2주일 동안은 가축의 질병 발생 여부를 관찰해 조기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앞으로 농촌진흥청은 황사발원지인 중국과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황사의 토양학적 특성을 밝히고, 환경부, 기상청 등 관련기관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해 황사에 대응한 현장연구 및 기술지원 체계를 유지키로 했다.또한 황사연구를 통해 얻어지는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기술적인 대응논리 등을 체계적으로 개발해 관련부처에도 제공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