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화훼시험장, 비가림 전정기술 개발
구미화훼시험장, 비가림 전정기술 개발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07.02.1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최근 수요가 늘고 있는 히페리쿰 2기작 재배를 위한 전정기술이 개발돼 생산량 증대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 구미화훼시험장(장장 한윤열)은 수출이 유망할 뿐 아니라 꽃꽂이소재용, 절지 및 분화용으로 관상가치가 높아 수요가 늘고 있는 히페리쿰(Hypericum indorum)의 비가림 하우스이용 2기작 재배를 위한 전정기술을 개발해 농업인들의 관심과 새소득 작목 기대를 모으고 있다.히페리쿰은 낙엽 또는 반상록성의 관목으로 12~14시간 이상의 일장에서 개화하는 장일성 식물이다. 적색, 분홍색, 녹색등의 열매를 관상하며 대부분 줄기를 잘라 꽃꽂이재료로 이용하지만 분화나 정원수로도 이용가치가 높다.히테리쿰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화종으로 국내환경에 알맞은 절지 재배법의 개발이 시급한 과제다. 따라서 구미화훼시험장에서는 2년전에 히페리쿰의 새로운 품종들을 도입하여 국내기후에서 연2회 수확하여 출하할 수 있는 전정방법과 재배기술 개발에 주력하여 겨울과 여름 전정기술을 확립하였으며 새로운 고소득 작목으로 재배 및 수출이 늘어날 전망이다.구미화훼시험장 연구팀에 따르면 히페리쿰을 1년에 2회 출하하려면 겨울과 여름에 2회 일시전정을 해야 하는데 먼저 2월 중·하순에 실시하는 겨울전정은 모든 줄기를 그루터기에 바싹 붙여서 즉 땅에서 5㎝이하로 낮게 자르는 것이 지상 25~50㎝이하로 높게 잘랐을 때보다 줄기가 굵고 열매가 많이 달려서 절지의 품질이 현저히 좋을 뿐 아니라 잘라서 판매 할 수 있는 상품수량도 25%나 더 많았다는 것이다.그러나 2회 수확을 위한 여름전정은 반대로 그루터기 밑 부분에서부터 50㎝상단에 잘라주는 것이 새싹이 잘 트고 가을에 출하시 상등품수량이 현저히 많기 때문에 시기에 따라 전정을 달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특히, 새로나온 줄기의 길이가 30~40㎝시 한밤중에 2~4시간정도 등을 켜서 개화를 유도하고, 줄기가 쓰러지지 않게 그물망을 설치해주면 고품질의 히페리쿰를 가온하지 않고도(비가림하우스이용) 2회 출하가 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소득작목 이나 수출유망 작목으로 손색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