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시설채소=시설원예 난방비 절감을 위해서 하우스 피복 자재를 잘 덮어 보온력을 높이고, 일사감응 전자동변온관리장치, 온풍난방기 배기열 회수장치, 중앙권취식보온터널 자동개폐시설, 지중가온시설 및 수막하우스 등을 이용하여 난방에너지를 절감토록 한다. 육묘상이나 오이·토마토·풋고추 등 시설재배 열매채소는 야간 최저온도를 12℃ 이상, 상추 등 잎채소는 8℃ 이상 유지되도록 보온 및 가온을 해 준다. 아울러 물주기는 점적관수를 이용하여 오전 중에 알맞은 양을 주도록 하여 하우스 내부가 너무 습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마늘`양파=마늘은 2차생장 및 인편 엽상화현상(야구방망이모양)과 갑작스러운 추위가 오면 잎끝마름(고엽) 현상이 증가할 수 있고, 양파는 생육과다로 추대율 및 분구율이 증가(보통 추대율 5~10%)하고, 갑자기 기온이 떨어지면 잎의 백화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겨울철에 비가 내리거나 눈이 녹으면 토양이 과습하지 않도록 배수관리를 철저히 해주고, 갑작스러운 추위에 대비 볏짚·왕겨 등을 덮어주고, 고자리파리, 양파 노균병 등 병해충을 잘 관찰하도록 한다. △과수=황금배 Y자 수형 조기 수량증대를 위해서 주지유인은 영구주지를 중심으로 임시주지는 양쪽으로 2개씩 유인하여, 모두 2개의 영구주지와 4개의 임시주지를 구성한다. 전정을 할 때 영구주지에는 주로 측지를 구성하고 임시주지에는 단과지를 유지한다. 임시주지 솎기를 할 때는 재식 6년차 겨울전정 시는 주지를 양편에서 1개씩 솎아 주지를 4개로 줄인다. 재식 7년차 여름전정 시 영구주지에는 발생된 도장지를 7월중순경 영구주지와 직각(재식렬과 평행)을 이루도록 유인하여 장차 측지로 활용한다. 또 재식 8년차 여름전정 시에도 영구주지에는 발생된 도장지를 7월중순경 영구주지와 직각(재식렬과 평행)을 이루도록 유인하여 장차 측지로 활용한다. 재식 8년차 겨울 전정 시 주지를 양편에서 1개씩 솎아 주지 2개로 하여 Y자 수형을 구성완료 한다. 주지2개의 Y자 수형을 완료한 후에는 측지가 옆 나무와 겹쳐 수관이 복잡하여지면 남길 나무의 측지는 계속하여 연장시키고 간벌대상수의 측지는 단축전정을 실시하여 수관 내에 햇빛이 많이 들도록 한다. 나무의 측지가 옆 나무 부근까지 자라고 결과부위가 충분히 확보되어 간벌을 실시하여도 수량감소가 없다고 예상될 때는 그 해 겨울 간벌을 실시한다. 지난봄부터 가을까지 과수 나무에 발생하였던 각종 병해충이 병든 잎·가지·과실·잡초 등에서 겨울을 나게 되는데 병해충이 숨어서 겨울을 나고 있는 병든 잎·가지·과실 등을 모두 모아 태우거나 땅속 깊이 묻어 주도록 한다. △화훼=저온 및 강설 등 겨울철 기상에 따른 난방기 점검을 평소에 잘하고 눈이 많이 내릴 때는 하우스 피해가 나지 않도록 눈을 쓸어 내리도록 한다. 장미의 휴면을 타파시키기 위하여 가온을 시작할 때는 장미의 키를 낮추어 주는 전면적인 절단을 해 주도록 한다. 전정 후는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묵은 가지나 잎을 완전히 제거하여 월동 해충의 월동 장소를 없애 주도록 한다. 현재 꽃을 생산하는 장미 하우스는 온도를 16℃이상 되도록 관리해 주고, 겨울철에는 일조량이 부족하기가 쉬우므로 보온 자재 관리에 세심한 신경을 쓰도록 한다. 장미 품종별로 야간온도 관리는 챠밍, 미미로즈(14℃), 리틀마블, 후리스코(15℃), 캐딜락, 택사스(16℃), 노블레스, 브라보(17℃), 칼립소, 로얄(18℃) 관리하며, 야간변온관리는 17~24시까지는 18℃, 0시 이후에는 14℃관리한다. 또한, 생육온도가 5℃이하가 되면 생리장해 발생 및 생육이 정지되고, 0℃가 되면 낙엽이 지고 휴면이 시작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느타리버섯 재배=버섯 재배사와 배지의 온도는 겨울철 재배에 적합한 10~16℃ 정도가 항상 유지될 수 있도록 보온관리를 잘 해 주도록 하고, 단열시설은 수시로 점검·보완하여 주고 노후화된 시설은 교체하여 준다. 버섯 재배사 실내 습도는 85% 정도가 유지되어 균상이 마르지 않도록 하고, 환기관리를 철저히 해주도록 한다. 버섯자실체에 수분이 오랫동안 머물게 되면 세균에 의한 갈변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관수 후에는 반드시 환기작업을 실시하여 버섯 갓의 수분을 증발시켜 갈변병 발생을 사전에 막아준다.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