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해 11월말 기준 우리나라 농산물 수출고는 17억8,400만 달러. 환율하락과 고유가 등 악재 속에 2005년 동기대비(17억200만 달러) 4.8%가 증가했다. 하지만 물량은 2.7% 감소했으며, 농산물 수입고는 73억2,900만달러에 이르면서 엄청난 무역수지 적자를 나타냈다. 농산물 수입개방에 맞서 “공격적 수출농업”을 외치고 있지만, 우리농업의 대외경쟁력은 매우 취약하다는 사실이 수출입 통계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문제는 앞으로도 농산물 수출환경이 좋아질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 세계의 교역제도는 다자간 협상틀이 깨지면서 양자간 협정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FTA(자유무역협정)로 귀착되고 있는 양자간협상에선 우리농업의 취약한 부분을 예외품목 또는 민감품목으로 인정받기 힘들다.한국개발연구원은 한·미FTA(자유무역협정)가 우리의 농업생산을 크게 감소시킬 것으로 예측했다. 쌀을 제외하고도 최소 1조1,552억원에서 최대 2조2,830억원의 농업생산 위축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이중 원예농산물인 과일과 채소의 생산감소액은 1,200~2,554억원이다. 유지작물, 곡물, 축산물 등 대부분의 품목에서 생산이 줄어, 우리의 전체 농업생산액 중 20~30% 정도가 감소한다는 것.그렇다면 우리농업이 한·미FTA 이후에도 70~80%의 생산액을 유지할 수 있을까? 전문가들은 생산감소에 따른 피해가 연쇄반응을 가져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농민과 농업취업자들의 전직이 불가피, 농촌 공동화가 가속화될 것이 확실하다. 장기적으로는 미국농업의 풍흉에 따라 우리시장은 수급불안을 겪어야 할 것이다.이처럼 한·미FTA(자유무역협정)는 한국농업에 ‘쓰나미’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한·미FTA에 이어 중국산에 대한 수입문턱을 낮출 경우 농업 피해액은 산정조차 쉽지 않을 만큼 막대할 것이다.따라서 농산물 수출확대는 이제 우리농업의 최대과제이다. 하지만 수출 기상도는 흐리다. 변변한 수출품목도 없는 형편이다. 일본수출로 잘나가던 파프리카는 최근 물량처리에 곤란을 겪고있다. 오이 등 과채류를 일본으로 수출하던 농협들은 현지 풍작에 따른 가격하락과 크레임 등 반복되는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하고 포기하기 일쑤이다.장미와 딸기 등도 수출유망 품목으로 지목됐지만 로열티문제로 마찰의 소지가 다분하다. 과일 중 사과는 국내시세가 높아 유일한 수출시장인 대만에서 가격싸움으로 고전하고 있다. 그나마 배가 미국시장에서 농산물 수출의 체면을 살리고 있다. 나주와 천안, 안성, 평택, 울산, 아산 등 주산지 품목농협들이 수출업체들과 협력, 교민시장을 교두보 삼아 분투하고 있다.왜 한국 농산물은 해외시장에서 힘을 못쓰는가? 수출관계자들은 대표 브랜드의 부재와 선별포장의 미흡 등을 지적하고 있다. 또 지속적인 물량공급체제도 반드시 갖춰야할 수출필수 요건으로 꼽고 있다.따라서 수출 전업농을 육성하는 한편, 품목별 대표브랜드를 선정, 출하물량을 규모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있다. 농산물 수출분야에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뜻이다.또 한가지 빠뜨릴 수 없는 것이 조직의 전문화이다. 공격적인 농산물 수출을 위해선 품목별로 전문조직이 활발하게 움직여야 한다. 하지만 우리의 수출조직은 품목별로 전문화됐다고 보기는 힘들다. 여러품목을 취급하는 ‘종합상사형’에 속한다. 특히 생산자와의 연계성이 약하기 때문에 국내가격이 높을 경우 물량조달이 어렵다.재배기술 지도력을 갖춰 생산단계부터 농가를 장악하는 전문조직 만들어져야 한다. 이 조직은 내수와 수출을 컨트롤 할 수 있는 파워 브랜드를 갖춰야 한다. 물론 우리 농업계의 현실을 감안할 때 이같은 조직이 자생적으로 뿌리내리기엔 역부족이다. 정부의 강력한 뒷받침이 없으면 불가능하다.정부지원을 밑천으로 생산부터 유통까지 지배하는 조직이 육성된다면 우리농산물이 해외시장을 지배하는 날도 올것이다. 그때의 조직은 ‘자가발전’으로 우리농업을 끌고갈 것이다./강대승 기자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