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중관수-공기주입 3년간 적용했더니…
지중관수-공기주입 3년간 적용했더니…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06.12.1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지중관수 및 공기주입 장치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는 시설원예작물 재배시 관행 지표관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지중관수 및 공기주입기술을 3년간에 걸쳐 풋고추재배에 적용한 결과 잡초발생과 염류집적이 줄어들고 뿌리발달이 촉진되어 풋고추 수량이 30% 증가되었다고 밝혔다. 지중관수는 토심 20~30cm 깊이에 관수호스를 묻어 관수하는 방법으로 과거에는 관수호스에 구멍이 막히거나 뿌리가 관수호스를 막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실용화되지 못했으나 최근에는 성능이 우수한 관수자재가 개발되는 등 문제점이 보완되어 외국에서는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원예연구소 시설원예시험장에서는 토양표면에 관수호스를 설치하나 지표관수 대신에 관리기를 이용해 20cm 깊이로 골을 만든 다음 압력보상형 점적호스를 깔고 흙을 덮는 지중관수와 지중관수호스 출구에 공기압축기(에어콤퓨레샤)를 연결하여 낮동안에 지중에 공기를 강제로 주입하는 시스템을 풋고추재배에 이용했다.그 결과 지중관수는 지표관수에 비해 토양 표면에서의 수분증발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관수량이 30% 절감되고, 지표면이 건조하게 유지되어 잡초 발생이 매우 적었다.또한 풋고추 수확이 끝난 후 토양속의 전기전도도(EC) 및 무기이온 함량을 분석해 본 결과, 지중관수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승하는 토양수분과 함께 이동하는 토양속 무기이온이 표토에 적게 이동함으로써 지표관수에 비해 염류집적이 적게 일어났다.한편 고추는 뿌리가 얕게 분포하는 천근성 작물로 토양수분이 알맞고 통기성이 좋아야 잘 자라는데 지중 자동관수와 공기주입을 함으로써 지표관수에 비해 풋고추 수량이 지표관수에 비해 30% 증가되었다.수량이 증가된 원인은 지중에 토양수분함량을 기준으로 관수를 하고 공기를 주입해 줌으로써 뿌리 부위에 수분이 알맞게 공급되고 통기성이 좋아 뿌리가 토양깊이 뻗게 되어 고추의 생육이 촉진된 다.원예연구소는 지중관수와 공기주입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관수호스 설치나 철거 노력 등에 추가비용이 소요되나 관수량 절감, 잡초발생이 적고 염류집적 경감, 생육촉진 및 수량 증가 등의 여러 가지 이점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고추뿐만 아니라 다른 시설작물 재배에도 확대 이용될 것으로 전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