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촌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원장 이길복)에서는 생명산업의 성장 동력인 농업유전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식물종자, 식물영양체, 미생물, 곤충 및 가축 등 모든 농업유전자원을 집중관리 할 제도, 조직 및 저장시설 등 종합시스템을 구축했다.농촌진흥청에서는 민간, 대학, 국가기관 등이 보유하고 있는 농업 유전자원을 집중관리 하여 관리의 효율화 및 활용을 증대하고자 농업유전자원 관리에 관한 규정, 제도, 조직, 저장능력 확충 및 자원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국가종합관리체계 확립에 힘쓰고 있다. 농업유전자원 관리에 관한 규정은 ‘농업유전자원관리규칙’, ‘농업유전자원관리요령’ 및 ‘농업유전자원관리기관지정및운영요령’을 제정해 시행함으로써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됐다.또한 산림자원을 포함하는 농업유전자원을 다양하게 확보하고 국가자산으로써 안전하게 관리, 보존 및 이용함으로써 농업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고 유전자원이 생명산업의 소재로 활용해 농업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제도적 근거를 마련코자 농림부, 산림청 공동으로 농업유전자원 보존·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안 제정도 추진하고 있다.제도적으로는 농촌진흥청 종자은행과 소속 연구기관, 정부출연연구기관 및 대학 등에서 분산 관리되고 있는 유전자원을 국가차원에서 통합 관리를 위하여 농촌진흥기관 15기관 및 대학·출연연구기관 13기관 17개 단위기관에 대하여 농업유전자원 관리기관을 지정하여 보존, 증식, 분양 및 활용 등 관리를 하고 있으며 연차적으로 늘려 2010년까지 대학, 민간 부문 관리기관을 40개까지 확대지정 할 계획이다.농업유전자원은 인류의 식량난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유일한 열쇠이자 의약품, 의복, 연료, 천연 신소재의 원료 및 자연생태계 유지 등을 통한 인류복지 증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최첨단과학인 농업생명공학연구의 기본토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