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외식업에 원산지표지제를 도입한지 1년이 지난 일본은 현재 절반 가량의 음식점이 이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일본 농림수산성의 조사에 따르면 총 2059개 음식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579개 점포가 답을 했으며, 이 중에서 42.5%에 해당되는 214개 점포가 원산지표시제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업태별로 보면 야키니쿠전문점이 68.1%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스테이크전문점과 샤부샤부점이 65%로 조사됐다. 이는 광우병 영향으로 인해 고객의 반응이 민감한 편인 쇠고기를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이 아무래도 원산지표시제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원산지표시제를 실시하지 않은 이유를 묻는 조사에서는 ‘작업상 부담이 크기 때문’이 44.4%로 가장 높았으며, ‘납품업자로부터 제대로 정보를 얻지 못한다’가 34.1%, ‘장점이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가 28.1%로 10명 중 3명꼴은 필요성조차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인식을 뒷받침하듯 ‘앞으로 원산지표시제를 실시할 예정’이라는 음식점도 19.9%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환경이 정비되면 원산지표시제를 실시하겠다’는 57.7%로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봐서 원산지표시제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납품업자의 협력과 정부측의 좀더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것이 대부분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한편 고객의 반응에 대한 조사에서는 ‘많은 고객이 관심을 표시한다’가 11.9%에 그친 반면 ‘일부고객만이 관심을 표시한다’가 54.9%, ‘거의 모든 고객이 관심이 없다’가 27.0%나 되는 것으로 조사돼 정작 소비자들은 원산지표시에 대해 관심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