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소장 목일진)는 베란다에 채소정원을 만들 수 있도록 다양한 베란다의 환경조건에 적합한 채소작물을 선발하고 소비자가 편리하고 쉽게 채소를 기를 수 있는 양·수분 공급 방법을 개발했다.원예연구소에 따르면 베란다에 햇빛이 많이 들어오는 곳에는 겨자채와 적근대를 햇빛이 많이 들어오지 않는 곳에는 상추, 쑥갓, 청경채 재배가 가능하다.물관리는 심지관수법을 이용하면 쉽게 할 수 있다. 심지관수를 위해서는 용기가 2개 필요한데 하나는 바닥에 심지를 끼울 구멍이 있는 작물을 심을 용도의 용기와 다른 하나는 물을 담아서 심지를 끼운 용기를 위에 얹어 놓을 만한 크기의 용기이다. 배수공에 시판되고 있는 부직포 심지나 융과 같은 천을 끼워 용기와 용기 사이를 연결시키면 심지를 통해서 물이 조금씩 흙으로 흡수된다(심지관수법). 이러한 방법으로 수분관리를 하면 바닥으로 흘러나오지 않기 때문에 확장공사를 한 베란다에서도 관리하기가 편리하다. 한편, 물을 담는 용기가 크면 오랫동안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바쁜 현대인들에게 안성맞춤인 시스템이다. 양분관리는 상토에 섞어 쓸 수 있는 시판되는 완효성 고형비료를 이용하면 되는데 화분 크기에 따라 1개에서 3개씩 처방전에 따라 넣어주면 된다. 한편 화분전용 완효성 비료는 원예연구소와 애그로액티브가 공동 개발해 특허 출원중이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