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재배기술상의 문제점=마산지역의 경우 흰녹병 발생 및 방제 미흡으로 수출규격품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창원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유카’ 품종은 환경적응력 및 재배기술 부족으로 인한 수출규격 품질 미달로 수출이 부진한 상황이다. 여름철 장마와 집중호우 등 침수피해로 인해 상품성 저하문제도 계속되고 있다. ▲수출확대를 위한 기술=국제 기호성 품종 개발과 시범수출을 통한 시장 개척 노력과 함께, 육성품종 보급을 위한 시범재배 확대, 고온장해 극복을 위한 기술개발 및 왜화제 효과 구명 등을 연구·추진중이다. 또, 국화왜화바이로이드 및 흰녹병 방제기술 개발 및 고품질 절화 연중생산 체계 확립도 우선적인 과제이다. 세부적인 추진내용은 아래와 같다. ▲국제 기호성 품종 개발과 시범수출을 통한 시장 개척=신품종 육성연구를 추진해 원예연구소, 강원해안시험장, 충남예산국화시험장, 남원고랭화훼시험장, 구미화훼시험장, 창원화훼육종연구소등에서 품종개발을 해오고 있다. 이와 함께 신품종 육성 및 육성품종 보급을 위한 시범재배를 확대하고 신품종 이용촉진 사업에 적극 활용해 구미, 예산등 4곳에서 추진하고 있다. 국화 생력화 재배를 위한 무측지성 국화품종을 개발하기 위해 교잡에 의한 무측지성 유전자원 개발과 STS2도입에 의한 무측지성 국화도 육성한바 있다. ▲고온장해 극복을 위한 기술 개발 및 왜화제 효과 구명=이를 위해 스프레이국화 고온기 품질향상을 위한 단일처리법을 개발했고, 온도별 GA3 처리가 국화 휴면 타파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했으며, 에세폰처리에 의한 하추국화의 모주관리 방법도 연구진행 중이다.▲국화왜화바이로이드 및 흰녹병 방제기술 개발=병충해 피해로 인한 상품성 저하 최소화를 위해, 국화왜화바이로이드 전신감염 기작 구명, 온도와 병 발생 관계 구명 및 건전묘 육성을 추진중이다. 또한 재배적 회피기술 개발, 저항성 유전자원 개발 및 국화 흰녹병 방제 체계도 확립했다. ▲고품질 절화 연중생산 및 생력화 재배기술 확립=스프레이국화 재전조시 광원별 품질향상 연구를 수행중에 있으며, 국화 연작지 작물별 제염효과 및 알리움속 후작지 국화 생육저해 원인도 구명중이다. 광산란 피복재, 우량묘 생산, 비가림하우스 활용 및 무측지성 국화 백선의 중부지방 재절화 재배한계기 구명등도 진행중이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