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내 선인장 생산량은 지난 2002년 2,897만주까지 늘었다가 2003년 1,942만주 그리고 지난해에는 2,995만주정도였다.생산액은 97년 73억원에서 2004년 133억 3,800만원, 지난해에는 138억 3,500만원을 기록해 10년만에 2배로 성장하는등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다. 선인장은 비교적 안정적인 생산기반을 가지고 있으나, 지난 2003~2005년 국내 생산량 감소로 수출물량 부족현상을 겪고 있다. 현재 국내 선인장생산은 내수기반 침체로 일반 선인장농가 일부가 접목선인장으로 전환한 상태이다. 또한 중국의 생산량(한국농가)이 증가되고 있어 앞으로 국내 및 수출시장을 잠식할 우려가 높다. 한편 신규 생산단지인 음성, 안성 등은 생산면적 증가로 안정물량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수출현황 및 전망=주요 수출대상국은 네덜란드로 2000년 187톤에서 지난해 117톤으로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미국, 캐나다로의 수출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수출액면에서는 지난 2000년 273만불에서 지난해 188만불로 줄어드는 추세이다. 지난해의 경우 2005년 국내 공급물량 부족으로 수출 감소현상이 두드러졌는데, 특히 봄철수요가 많아 계절적 물량부족이 반복되는 상황이다. 선인장수출은 시장이 다변화 되어 있는 편이나, 화란, 미국, 캐나다로 수출량의 70~80%가 집중되고 있는 것도 개선해야할 부분이다. 선인장은 전량이 국내품종이며 국제적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어 수출에 유리하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새로운 품종 및 품목개발연구에 지속적 투자가 필요하다. 최근 환율하락에 의한 수출가격 상승으로 봄철 수출저조 문제해결이 시급하다. ▲수출유통상의 문제점=접목선인장 생산 부족으로 수출저하를 겪고 있다. 이에 경기 이남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신규단지 조성과 음성단지내 5농가 3,000평 규모의 확대등 기존단지를 넓히는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또한 수송비용 절감을 위한 선박수송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아, 현재 유럽으로는 30일, 미주지역으로는 25일이 소요되는 부분도 지적되고 있다. 비모란의 적정 수송온도 실증 및 시범수출, 산취의 수송시 도장억제를 위한 1-MCP 처리효과 실증, 품질유지를 생장조절제 처리효과 구명등도 추진되고 있다. 이와 함께 기술 및 유통정보 부족으로 인한 농가들의 어려움이 제기되어 소식지등을 발간·배포하고 있으며, 수출품목이 다양하지 못하고 반제품 위주의 수출을 감안한 포장용기 개발과 규격상품의 공정생산 및 완제품 생산체계 확립 연구도 진행중이다. 재배기술상의 문제점으로는 Virus감염에 의한 접목활착율 저하 및 생육저하가 심각해, 무병 모본 및 대목(삼각주) 보급 및 시범재배 확대 및 바이러스 저항성 품종 육성이 시급하다. 또 토양병해 등 연작장해로 인한 생산성 저하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벤치재배 및 양액재배 등 재배형태 전환 지도도 이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그밖에도 동계 및 하계기간 접목활착율 저하를 막기 위해 접목 작업실 및 정치실을 지원하고, 선인장지역 75%가 임대농인 열악한 농가현실을 감안하여 고양 화훼단지 내 선인장 전문화단지(11농가 9,900평)를 조성해 정기적인 기술지원 및 컨설팅으로 애로기술을 조기해결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