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업관측 / 표고버섯(11월)
임업관측 / 표고버섯(11월)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06.10.2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배동향과 전망=△9월 표고버섯 생산량은 작년보다 감소=재배자의 59.7%가 9월에 표고버섯을 생산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생산량은 작년보다 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은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표고버섯 생산이 감소한 것은 노목이 많아져 생산력이 떨어진 것과 고온·건조한 날씨 때문에 버섯의 발생과 생육이 부진하였기 때문이다.△신규접종은 저온성이 많아=재배자의 48.1%가 내년도 신규접종을 계획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접종 희망 종균은 저온성 종균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고온성, 중온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재배자의 30.3%는 내년도 신규접종을 하지 않을 것으로 응답하였는데, 신규접종을 꺼리는 이유는 표고재배의 수익성이 점차 기대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구입희망 종균 형태는 성형종균 선호=내년에 신규접종을 계획하는 임가의 대부분이 성형종균의 구입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내년 신규접종을 희망하는 재배자의 30%가 산림조합에서 구입할 것으로 조사되었고 나머지는 민간회사에서 구입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1월의 표고버섯 생산은 감소 전망=날씨가 추워지기 시작하는 11월부터 표고버섯 생산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현재 재배하는 표고버섯 골목에 노목이 많아 생산 능력이 떨어지고 신목으로 교체해야 하는 임가가 많아 생산이 다소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지역 통신원 소식=올해 가을 건조한 날씨로 인하여 생표고 버섯의 품질이 양호할 것으로 보임(충남 청양).원목 값이 올라 생산비는 오르는 반면 판매가격은 낮아져 내년도 표고버섯 생산 증가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함(경북 문경).2006년도에 큰 수익을 올리지 못하였고 원목값 상승과 자금난 등 심리적인 요인까지 있어 표고 생산을 포기하겠다는 재배자가 늘고 있는 것이 현실임(경기 여주).■가격동향 및 전망=△10월 상순의 생표고 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높아=10월 상순 생표고 중품의 평균 도매가격은 4kg당 14,987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21.1% 상승하였다. 이는 추석 명절에 즈음하여 표고버섯 수요량이 크게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9월 생표고 가격은 작년과 비슷=9월 생표고 중품의 평균 도매가격은 작년 동기와 비슷하게 형성되었다. 상품과 특품의 가격은 작년보다 크게 낮아졌는데, 여름철 고온·건조한 날씨의 영향으로 출하된 표고버섯의 품질이 크게 저하되었기 때문이다. △건표고 가격은 작년보다 높아=9월말 건표고 동고(상품)의 생산지 가격은 30,770원/kg으로 작년 동기와 비교하여 25.1% 높게 형성되었다. △11월 생표고 가격은 다소 낮아질 전망=11월 생표고 가격은 작년보다 약간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추석 이후 버섯 수요도 감소할 것이며, 고온으로 인해 발생과 생육이 부진하였던 버섯이 뒤늦게 출하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수출입 동향 및 전망=△9월의 조제표고 수입량은 작년보다 증가=중국산 생표고는 9월에 26톤이 수입되어 일부 재래시장으로 반입되어 판매된 것으로 나타났다.9월의 건표고 수입은 178톤으로 작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이다. 1~9월 수입량 누계치는 작년 동기보다 8% 감소하였다. 9월의 조제표고 수입량은 작년 동기보다 21.5% 증가하였다. 그리고 1~9월 수입량 누계치는 작년 동기보다 23.4% 증가하였다. △8월 건표고의 수출은 약간 증가=8월 건표고 수출은 22톤으로 작년 동기보다 8% 증가하였으며, 일본과 홍콩으로 수출되었다. 1~8월 수출량 누계치는 작년 동기보다 38.8% 감소하였다. △생표고 수입은 많지 않을 것으로 전망=중국의 표고버섯 생산량도 감소하였고, 여름철 고온현상으로 중국 내수의 표고버섯 가격이 상승하였기 때문에 가을철 중국산 생표고의 수입은 크게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요약 및 종합 전망=재배자의 48.1%가 내년 신규접종을 계획하고 있으며, 접종 희망 종균은 저온성이 가장 많고 그다음으로 고온성, 중온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9월의 표고버섯 생산은 작년보다 약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품질은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온·건조한 날씨 때문에 버섯의 발생과 생육이 부진하기 때문이다. 11월 생표고 가격은 작년보다 약간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추석이후 버섯 수요도 감소할 것이며, 고온으로 발생이 부진하였던 버섯이 뒤늦게 출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표고버섯 생산량도 감소하였고, 여름철 고온현상으로 중국 내수의 표고버섯 가격이 상승하였기 때문에 가을철 중국산 생표고의 수입은 크게 증가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