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감자 · 당근 제외한 겨울채소 재배면적 증가 전망=월동배추ㆍ무 재배면적 작년 출하기 가격과 금년 정식기 가격이 높아 작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겨울양배추 재배면적은 작년 출하기 가격이 높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겨울ㆍ월동대파 재배면적 작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겨울쪽파 재배의향 작년보다 높으나, 종구가격 강세로 다소 유동적이다. 겨울당근 재배면적 당초 증가가 예상됐으나, 지속된 가뭄으로 피해면적 발생해 감소로 전환, 겨울감자 재배의향 금년산 출하기 가격이 상당히 낮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산 마늘 재배의향 수확기 가격하락과 고령화로 금년보다 낮으나, 양파는 비슷할 듯하다.▲가격 강세 전망=금년산 고추 생산량 작년보다 크게 줄어 가격 상당기간 강세가 전망된다. 감자(수미) 출하가능면적 감소로 가격은 당분간 작년보다 높을 듯하다. 마늘ㆍ양파 저온저장량이 작년보다 적어 가격 강세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당근 수입 증가가 예상되나, 국내당근 출하량이 적어 당근 10월 가격도 고공행진할 듯하다.▲가격 약세 전망=배추ㆍ무 출하량 증가 전환으로 10월 가격 동반 약세 전망, 장철(11~12월) 가격은 면적 증가로 작년보다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파ㆍ쪽파 출하량 증가로 10월 가격도 약세 지속 전망, 특히 대파는 장기간 가격이 불투명하다. 양배추 출하량 회복세로 당분간 가격은 작년 보다 하락할 듯하다./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배추△출하량 10월부터 증가로 전환=배추 10월 출하면적은 작년 동기보다 1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최근 배추 가격 상승으로 준고랭지 2기작과 조기 출하되는 가을배추 면적이 늘었기 때문이다.배추 10월 단수는 작황이 비교적 좋은 것으로 조사되어 작년 동기보다 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과 단수 증가로 배추 10월 출하량은 작년 동기보다 14%(준고랭지 2기작 15%, 가을배추 1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가격 약세로 돌아설 듯=배추 포전거래는 준고랭지 2기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평균거래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13% 내외 낮은 평당 6,000~7,000원에 거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배추 10월 상품 10kg당 도매가격은 출하량 증가로 작년 동기보다 41% 낮으나, 평년 동기와는 비슷한 4,500원(360만원/5톤트럭)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가을배추 재배면적 작년보다 증가=금년 가을배추 재배면적은 최근 가격 상승으로 작년보다 7% 증가하겠으나, 평년보다는 7% 감소한 11,700ha 내외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농촌진흥청의 생육상황 조사결과, 키는 작년보다 0.3cm 작으나, 평년보다 0.6cm 크며, 잎수는 작년과 평년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현재까지 생육은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금년 가을배추 작황을 작년수준으로 가정할 경우 생산량은 작년보다 7% 많으나, 평년보다는 3%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김장철 배추 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낮고, 평년 동기보다는 다소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월동배추 재배면적 작년보다 증가=월동배추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6%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작년 월동배추 출하기 가격이 높았기 때문이다.■무△10월부터 출하량 회복될 전망=무 10월 출하면적은 작년 동기보다 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최근 무 가격 상승으로 준고랭지 2기작과 조기 출하되는 가을무 면적이 작년보다 늘었기 때문이다.무 10월 출하량은 작년 동기보다 1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출하면적이 증가한데다 작황도 양호하여 단수가 작년 동기보다 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출하량 증가로 10월 가격 작년보다 낮을 듯=무 포전거래는 준고랭지 2기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평균거래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13% 내외 낮은 평당 6,000~7,000원에 거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무 10월 상품 18kg당 도매가격은 출하량 증가로 작년 동기보다 19% 낮으나, 평년 동기보다는 30% 높은 9,000원(420만원/5톤트럭)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가을무 재배면적 작년보다 증가=금년 가을무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4% 증가하겠으나, 평년보다는 20% 감소한 9,200ha 내외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최근 무 가격이 작년보다 크게 높았기 때문이다.농촌진흥청의 생육상황 조사결과, 키는 작년보다 0.1cm 작으나, 잎수가 작년과 평년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현재까지 생육은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금년 가을무 작황을 작년수준으로 가정할 경우 생산량은 작년보다 4% 많으나, 평년보다는 15%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김장철 무 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낮고, 평년 동기보다는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월동무 재배면적 작년보다 증가할 듯=금년 제주 월동무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지난달 조사치보다 증가 폭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파종기가 가까워지면서 중산간지역의 동해를 우려한 상인들이 계약재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