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 이상증상(성숙 지연) 원인규명 현장기술지원(341)
콩 이상증상(성숙 지연) 원인규명 현장기술지원(341)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4.01.13 14: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안군농업기술센터는 지난해 10월17일 전라남도 무안군 관내에서 재배중인 콩(품종명 : 태광콩)에서 성숙 지연현상이 발생하여 원인 규명을 위한 현장기술지원을 요청한 사례입니다.

▲현장지원 개요

▲ 정상 포장 생육전경
일자 2013년 10월21일~22일(2일)
▲일반 현황
조사 지역 전라남도 무안군, 콩 재배규모은 농가당 평균 재배면적 2.5ha이다.
▲민원인 의견
정부 보급종 콩(품종명 : 태광콩)종자를 공급 받아 재배한 결과 콩의 꼬투리수가 적게 달리고, 성숙이 지연되어 후작물(양파)재배에 지장을 초래할 뿐 아니라, 수량 감소가 크다고 하며 정확한 원인을 알고자 했다.
▲현지 조사결과
△경종개요
재배작목은 콩(품종명 : 태광콩, 대원콩), 파종일시는 6월15~20일(양파, 또는 봄배추 후작), 재식거리는 이랑사이 40cm, 포기사이 20cm(1주 1~5개체, 기계파종), 시비량은 콩에는 무시비(앞작물 시비잔량에 의존), 재배작형은 양파 또는 봄배추 + 콩이다.
△현장조사 결과
▲ 미성숙 포장의 생육 전경
A농가=콩 재배면적 9,570㎡중 1,650㎡는 정상생육으로 수확 및 탈곡을 완료하였고, 3,630㎡는 미성숙 상태에서 예취하여 건조 중에 있고, 나머지4,290㎡는 성숙지연과 꼬투리 착생불량으로 수확을 포기하고 후작물인 양파재배를 위하여 갈아엎은 상태였다.
B농가=콩 재배면적 6,600㎡ 중 4,620㎡는 성숙은 다소 지연되었으나, 정상 생육으로 예취하여 건조 중에 있고, 콩밭 1,980㎡는 미성숙(바닷물 살포)으로 꼬투리 착생이 불량하여 방치하고 있다.
또한, C농가(태광콩 채종포)·D농가(대원콩)에서도 꼬투리 착생이 불량하고 미성숙 상태에 있으나, 후작물재배를 위하여 일부 포장은 예취하여 건조 중에 있었다.
반면 태광콩을 재배한 E농가 등 2농가는 정상 생육으로 이미 수확 및 탈곡을 완료하였고, 다른 농가는 숙기는 다소 지연되었으나 작황은 양호하였다.
대부분의 콩 재배농가는 휴간거리를 40cm로 표준(60cm)보다 밀식재배하고 있었으며, 꼬투리와 종실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탄저병의 피해증상이 있었다.
▲종합 검토의견
정부 보급종인 태광콩은 일부 농가를 제외하고는 정상적인 생육으로 수확 및 탈곡이 완료된 것으로 보아 이번 콩에서 나타난 성숙지연 및 꼬투리가 적게 달리는 현상은 종자에 의한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대원콩과 보급종이 아닌 원종을 재배한 태광콩 채종포에서도 성숙지연 등 동일한 증상이 나타났다.
콩 재배시 성숙이 늦어지는 주요 원인은 생육기에 가뭄 등으로 생육이 지연되거나 질소 등 양분이 과다할 경우, 개화기 전·후의 불량환경으로 수정 및 꼬투리 착생수가 적을 때, 노린재류 등 해충이나 병해에 의해 꼬투리나 종실이 피해를 받아 식물체의 양분 이동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에 주로 나타난다.
태광콩의 성숙지연 현상은 7월 중순부터 개화성기인 8월 중순까지 가뭄이 지속되어 관수를 하지 않은 콩밭에서 가뭄에 의한 생육지연은 물론 낙화 및 수정장해로  꼬투리 착생이 적은 반면, 잎과 줄기만 무성하게 생장하였고, 밀식에 의한 통풍과 수광상태가 불량하여 역시 낙화 및 수정장해로 꼬투리 착생이 적어 양분 이동의 불균형에 의한 성숙지연, 그리고,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피해와 탄저병에 의한 꼬투리 부패도 성숙지연의 한 원인으로 볼수 있는데, 특히, 태광콩은 톱다리개미허리 노린재 발생시기와 꼬투리 비대기가 일치하는 포장이 많아 피해가 심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현지 포장에서 콩 꼬투리를 채취하여 조사한 결과 아래 표에서 보는바와 같이 정상포장(1.7%)에 비하여 성숙지연 포장(2.9~5.9%)에서 톱다리 개미허리 노린재 피해종자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기형종자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형종자의 대부분이 물리적 가해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볼 때, 노린재에 의한 피해로 추정되고, 일부 부패립은 탄저병 증상을 보이고 있다.
▲금후 기술지도 방향
콩 재배농가의 재배기술 교육이 요구된다. 콩의 표준재배법 준수토록 지도한다.
콩의 중요 병, 해충에 대한 예찰을 통한 방제 지도하고 콩의 생육관찰포 운영한다.(무안군농업기술센터)
금년에 발생한 성숙지연 등 이상증상에 대한 정밀검토로 향후 콩 재배 기술지도에 활용하도록 권장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