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농가들이 난방비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가 주관하는 ‘농업·농촌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사업’(이하 감축사업)에 참여한 농가들이 실마리를 찾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제주도에서 애플망고와 감귤을 생산하고 있는 행복나눔영농조합의 7개 농가는 난방비에 대한 걱정을 하지 않는다. 인근 발전소에서 발전소를 식히고 난 후의 온수를 난방에 이용하면서 경유 사용료 17% 수준의 전기만으로 모든 난방이 해결되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저렴하고 균일한 난방 에너지를 사용함에 따라 다른 농가보다 보름 정도 빠른 2월 중순에 우수한 품질의 망고 생산이 가능해져 가격 경쟁력까지 확보했다.
충남 논산에서 토마토를 재배하고 있는 최재정 외 4개 농가도 크게 다르지 않다. 땅속 깊은 곳 균일한 온도의 지열을 히트펌프를 통해 난방에 이용함으로써 경유 사용료 70~80%를 줄여 농가의 운영비를 절감했다. 또 균일한 열원 덕분에 토마토 생산량이 약 10% 늘어나는 효과를 봤다고 한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은 화학연료 사용 감소로 인해 줄어든 온실가스 발생량에 1t당 1만 원의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즉 온실가스를 감축함에 따라 지구 환경을 살리고, 온실가스 1t당 1만 원이라는 농가 소득 증진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은 2,525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한 행복나눔영농조합에 2천525만원의 인센티브를 제공했으며, 1,540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한 충남 논산의 최재정 외 4개 농가에 1천540만원의 인센티브를 제공했다. 이외에도 3개의 농업경영체에 약 794만 원의 인센티브를 제공해 총 5개 농업경영체가 약 5천톤의 인센티브를 지급받았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 환경축산사업팀 정완태 팀장은 “농업에서의 온실가스 감축은 매우 중요한 글로벌 과제로 지구 환경을 살리고, 농가의 운영비 절감과 소득 증진에 많은 도움이 된다”며 “농업경영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한편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은 기업이 농가에 저탄소 농업설비를 제공하고 온실가스 배출권을 획득하는 기업참여모델을 개발 중이며, 탄소 거래제가 본격 시행되는 2015년 감축사업을 본 사업으로 전환하면서 기업참여모델도 함께 실시할 예정이다.
지열난방시스템 경유 사용료 70~80% 줄여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