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 온수침지법’개발
전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 온수침지법’개발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06.09.1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볍씨 소독시 살균제와 살충제 등의 종자소독약을 사용할 경우 본논에서 농약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친환경 쌀 인증을 받을 수 없게 되어 있는 가운데 최근 친환경 “온수침지법”기술이 개발되어 친환경 쌀을 생산하는 농가에 희소식이 되고 있다.전라남도농업기술원 박흥규 수도연구팀은 볍씨에 묻어있는 키다리병과 선충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싹트는 비율을 높이는 친환경 종자소독법을 개발해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고 밝혔다.지금까지는 살균제와 살충제를 혼용해 볍씨를 소독 하거나, 볍씨를 찬물(18℃ 내외)에 4시간 담근다음 꺼내어 다시 58~65℃의 따뜻한 물에 5분간 담그는“냉수온탕침지법”으로 소독작업을 했으나, 이러한 방법은 작업도 복잡하고 소독 온도가 60℃ 이상으로 될 때에는 싹트는 힘과 비율이 낮아 실패하는 사례까지 발생했다.그러나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볍씨를 60℃의 따뜻한 물에 10분간 담그기(온수침지법)를 하면 소독 효과도 우수하고, 싹이 트는 힘과 싹이 트는 볍씨의 비율도 월등히 높았다.기존의 냉수온탕침지법은 싹트는 힘이 60%, 싹이트는 비율이 64%로 낮고 작업도 복잡하며 싹트는 비율이 낮아 모 기르기를 실패하기도 했으나, 새로 개발된 기술은 작업도 간단하면서 키다리병과 선충이 방제되고, 싹트는 힘과 싹이 트는 볍씨의 비율도 각각 96%로 매우 높았다.이러한 온수침지법 볍씨 소독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농가에서 친환경 고품질 쌀 생산 인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소독작업 시간 단축은 물론 튼튼한 모를 기르면서 키다리병과 미질을 떨어뜨리는 선충까지 동시에 방제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그러나 60℃의 따뜻한 온도를 지속적으로 10분 동안 맞추기 위해서는 현재 친환경 고품질 쌀 시범지역과 대규모 농가에 보급되고 있는“발아기”(볍씨 싹틔우는 기계)를 확대 보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키다리병이란 못자리와 본답에서 지나치게 키가 커지면서 이삭이 패도 수확이 불가능하며, 선충이란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벌레가 쌀의 즙액을 빨아먹어 쌀이 검정색으로 변하게 되어 품질을 떨어뜨리는 병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