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농업기술원은 지난 18일 태안백합시험장에서 백합수출연구사업단, 백합산학연협력단과 공동으로 ‘충남백합산업 발전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날 협의회는 충남백합연구회(회장 김종석), 수출연구사업단(단장 서정근 단국대학교 교수), 백합 재배농가와 관계공무원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남백합산업의 경쟁력을 다지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이번 세미나는 최근 들어 경기침체에 따른 화훼시장 위축과 한국 백합의 최대 수입국인 일본으로의 수출 감소로 도내 백합농가가 어느 때 보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기에 개최돼 더욱 의미가 컸다.
최택용 태안백합시험장장은 이번 협의회에서 “시험장에서 개발한 신품종이 기존 품종과 견줘 뒤쳐지지 않는 우수성이 입증되고 있다”면서 “시험장은 앞으로 조직배양 등 증식기술을 집중 투입해 신품종을 대량으로 생산·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김종석 충남백합연구회장은 국산 백합 신품종이 확대 보급될 경우 백합 생산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구근 구입비의 부담을 덜고 외국으로 나가는 로열티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국산품종의 지속적인 개발을 요청했다.
이날 협의회는 일본 백합의 최고 전문가로 알려진 ‘야마키농원’의 모리야마 타카시 대표를 초청해 ‘일본의 백합 구근 생산 및 절화생산 기술’을 주제로 세미나도 함께 열렸다.
모리야마 대표는 세미나에서 “꽃 가격하락과 환율 문제로 일본으로의 백합 수출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일본으로의 백합 수출을 늘리기 위해서는 품질이 가장 큰 관건인 만큼 이에 대한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도 농업기술원 태안백합시험장 관계자는 “국내외적으로 화훼산업이 어려운 시기를 맞고 있지만 산학연이 협력해 이를 타개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번 협의회에서 나온 제안을 토대로 충남백합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수출확대 품질 가장 큰 관건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