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연 시리즈(염성현 시설원예시험장 농업연구사-258)
원예연 시리즈(염성현 시설원예시험장 농업연구사-258)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06.09.0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파풍망의 적정 파이프 규격 및 관리요령 ■제주는 태풍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이다. 최근 국내에 큰 피해를 준 태풍으로 ’02년 루사(순간최대풍속 40.8m/s, 서귀포)와 ’03년 매미(60m/s, 제주) 등을 들 수 있다. 제주지역에서는 강풍으로 인한 노지 감귤의 파엽을 최소화하고, 비닐하우스의 시설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파풍망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파풍망의 파이프 규격이 약하여 태풍 내습 시 파풍망을 지지하는 파이프 자체가 강한 풍하중으로 도복될 우려가 있다. 파풍망은 방풍네트와 세 개의 파이프(주기둥, 가로대 및 지지파이프)로 구성되어지나 농가마다 방풍네트와 파이프 규격을 달리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지역에 설치되고 있는 파풍망 규격(파풍망 메쉬와 파이프 규격)에 대하여 알아보고, 순간최대풍속 50m/s 조건에서 농가에 시공된 파풍망의 구조적 안전성을 기술하고자 한다. 또한, 농가에서 자체적으로 파풍망을 시공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파풍망 높이별(3.0, 3.5, 4.0 및 4.5m) 적정 파이프 규격을 살펴보고자 한다.▲파풍망의 구조실태파풍망 메쉬(방풍네트 메쉬)는 작을수록 촘촘한 것을 의미하며 바람을 막는 효과가 그만큼 커진다. 제주지역에서 이용하고 있는 파풍망 메쉬는 2~5mm로 조사되었으나 7개 조사 농가 중 1개 농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4mm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면으로부터 파풍망 끝단이 위치한 지점까지를 나타내는 파풍망의 높이는 2.5~4.5m로 다양하게 설치되고 있었다. 파이프 외경과 설치 간격은 주기둥 φ48.1@2~3m, 지지파이프 φ48.1@4~8.8m, 가로대 φ25.4~φ26.7@700~115cm 범위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지지파이프의 수평 고정점 위치는 130~420cm로 토지 이용도에 따라 농가마다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파풍망의 구조 안전성(1)=순간최대풍속 50m/s 조건에서 파풍망 메쉬 4mm를 사용하고 있는 농가에 대하여 파풍망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한 결과, 파이프에 걸리는 최대응력이 파이프가 견딜 수 있는 허용응력보다 크게 나타나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파풍망의 구조 안전성(2)=파풍망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파이프 규격을 강화하고, 주기둥과 지지파이프의 설치 간격을 줄여야 한다. 파이프 설치 간격별 파이프에 걸리는 최대응력을 살펴보면 지지파이프를 주기둥 2개 간격으로 설치한 모델 I 보다 지지파이프를 주기둥 간격마다 설치한 모델 II가 훨씬 구조적으로 안정되어짐을 알 수 있다.△파풍망의 구조 안전성(3)=파풍망의 구조적 안전성은 파이프 규격과 설치 간격 외에 지지파이프의 고정점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구조 안전성 측면에서는 지지파이프 고정점 수평거리보다 수직높이가 더욱 중요하다. 지지파이프 고정점 수직높이가 너무 낮거나 높을 경우 동일 파이프 규격과 동일 설치 간격에 대해서 적정 높이에서 보다 훨씬 더 취약해질 수 있다. 적정 지지파이프의 고정점 위치를 잘 선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파풍망의 적정 파이프 규격순간최대풍속 50m/s 조건에서 파풍망 메쉬 4mm에 대하여 파풍망 높이별(3.0, 3.5, 4.0 및 4.5m) 적정 파이프 규격 및 지지파이프 고정점 위치와 같다. 즉, 파풍망 높이를 3m로 할 경우, 적정 파이프 규격은 주기둥 φ59.9×2.9t@2m, 가로대 φ48.1×1.8t/4개, 지지파이프 φ15.9×1.2t@2m 또는 주기둥 φ59.9×2.9t@2m, 가로대 φ42.2×2.1t/4개, 지지파이프 φ59.9×2.9t@2m 이상의 파이프를 사용해야 구조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태풍 내습 전 파풍망 관리 요령태풍은 내습 시 대부분 강우를 동반한다. 상기 적정 파이프 규격을 사용했다 하더라도 강우로 인해 주기둥과 지지파이프의 토양 지지력이 약화되어 파풍망이 도복될 수 있다. 따라서 태풍 내습 전 또는 파풍망 시공 시 주기둥에 나무토막이나 ㄱ자 형강을 주기둥 간격마다 70~90cm 깊이로 연결 매설하거나 최하단에 위치한 가로대에 철근을 100~120cm 깊이로 주기둥 간격마다 연결 매설하여 파풍망 전체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여야 한다. 그리고 손상된 파풍망은 태풍 내습 전 수리하여 강풍으로 더 이상 찢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맺음말파풍망 메쉬 4mm를 사용하고 지지파이프 간격을 주기둥 2개 간격으로 설치하고 있는 농가에 대하여 순간최대풍속 50m/s 조건에서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한 결과,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것으로 분석되어 태풍 내습 시 도복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정 파이프 규격 이상의 파이프를 사용하고 적정 지지파이프 고정점 위치를 선정함은 물론 주기둥과 지지파이프 설치간격을 줄여야 중대형 태풍 내습 시 노지 감귤 및 비닐하우스 시설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태풍 내습 전에 손상된 파풍망은 수리하여 강한 풍하중으로 파풍망이 전체적으로 찢어지는 것을 막아야 하며, 강우로 인한 토양 지지력 약화를 막기 위하여 주위에서 쉽게 구할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