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에 ‘소화 잘 되는 단백질’ 함량 높인다
쌀에 ‘소화 잘 되는 단백질’ 함량 높인다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3.10.07 15: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진청, 맞춤형 기능성 쌀 개발 원천기술 확보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소화가 잘 안되는 난소화성 단백질 ‘프롤라민’ 함량은 줄이고 소화가 잘 되는 소화성 단백질 ‘글루텔린’ 함량을 늘리는 ‘쌀 단백질 조성 개량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쌀 단백질은 쌀 영양성분의 약 7%를 차지하며 소화가 잘 되는 글루텔린(60∼80%), 소화가 안 되는 프롤라민(20∼30%), 면역원성 단백질인 글로불린(5%)으로 구성돼 있다.
이중 지용성 단백질인 프롤라민은 섭취하더라도 체내에서 분해가 안 돼 소화와 흡수가 되지 않고 몸 밖으로 배출된다.
이번에 개발한 쌀 단백질 조성 개량 기술은 유전자제어기술(RNA interference, RNAi 기법)을 이용해 쌀 종자 단백질 중 프롤라민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적용한 결과, 일반 쌀과 비교했을 때 프롤라민은 32% 줄어든 반면 글루텔린은 28% 늘어났으며, 필수아미노산인 라이신의 함량도 28% 늘어나 쌀 단백질의 영양성분이 개량됐음을 확인했다.
또한 세포 내 프롤라민을 저장한 과립 수와 크기가 일반 쌀에 비해 줄어들어 단백질 저장 기구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쌀 단백질 중 글루텔린 함량이 증가하면 쌀을 통해 보다 양질의 단백질을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원은 물론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쌀의 효용성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