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엽근채류 도매가격은 당근을 제외하고 평년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엽근채류 가을작형 재배면적 작년보다 증가할 듯 하다. 10월 가격 건고추·마늘·양파 전월 대비 보합권, 대파는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4년산 재배의향 양파는 증가, 마늘 감소할 듯 하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배추
△가을배추 재배면적 작년보다 11% 증가=가을배추 재배면적은 작년 출하기 가격 상승 영향으로 평년보다 4%, 작년보다 11% 증가한 14,827ha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지역별로는 경기·강원이 작년보다 10%, 충청 12%, 호남 15% 영남은 3%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겨울배추 재배의향면적 작년보다 11% 증가=겨울배추 재배의향면적은 평년과 작년보다 각각 9%, 11% 증가한 5,350ha로 추정된다. 이는 금년 초 출하기 가격이 평년이나 작년보다 크게 높아 재배면적을 늘리려는 농가가 많기 때문이다.
△10월 출하량 작년보다 20% 많을 전망=10월 준고랭지 2기작 출하면적은 작년보다 1% 적으나, 가을배추 재배면적이 14% 증가하여 전체 출하면적은 작년보다 3%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수는 태풍 등으로 작황이 크게 나빴던 작년보다 16%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10월 배추 전체 출하량은 작년보다 2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배추 출하면적은 가을배추 재배면적 증가로 작년보다 12%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10월 배추 가격 작년과 평년보다 낮을 전망=10월 배추 출하분 포전거래가격은 준고랭지 2기작배추가 7,000~9,000원/3.3㎡, 가을배추는 4,000~6,000원/3.3㎡으로 작년보다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을배추 생산량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산지 유통인이 향후 시세를 관망하고 있어 포전거래는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무
△가을무 재배면적 작년보다 7% 증가 전망=표본농가 조사 결과, 가을무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7% 증가하나 평년보다는 9% 감소한 7,319ha로 추정된다.
지역별로는 경기·강원이 작년보다 5%, 충청 6%, 호남 11%, 영남은 2%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작년 가을무 파종기 잦은 비와 태풍 등 기상 악화로 재배면적이 감소한데다 생육 부진에 따른 생산량 감소로 출하기 가격이 평년보다 높아 콩, 감자 등에서 무로 작목을 전환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10월 무 출하량 작년보다 21% 증가 전망=10월 무 출하면적은 준고랭지무 재배면적 증가로 작년보다 3%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수는 태풍 등으로 작황이 크게 나빴던 작년보다 18%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10월 무 출하량은 작년 동월보다 21%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무 출하면적은 가을무 재배면적 증가로 작년보다 10%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10월 무 가격 작년 및 평년보다 낮을 전망=가을무 평균 포전거래 가격은 5,500∼6,500원에 거래되어 작년보다 1,000원 낮고 재배면적 증가와 초기 생육 상황이 좋아 포전거래가 활발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0월 무 상품 18kg당 가락시장 평균 도매가격은 재배면적과 단수 증가에 따른 출하량 증가로 가격이 높았던 작년(상품 17,071원, 중품 13,672원)보다 40% 이상, 평년(상품 10,538원, 중품 8,457원)보다 10% 이상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무 도매가격은 재배면적과 단수 증가에 따른 출하량 증가로 작년(상품 14,354원, 중품 11,315원) 및 평년(상품 9,459원, 중품 7,360원)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월동무 재배의향면적 작년보다 감소 전망=월동무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 소폭 감소한 4,642ha로 평년보다는 20%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늘
△마늘 민간재고량 전년보다 23% 많아=저장업체 조사 결과(9. 17), 2013년산 마늘 민간저장량은 전년보다 22% 많은 9만2천톤으로 추정된다.
9월 말 기준, 마늘 출고량은 전년보다 14% 증가한 약 8,200톤이고, 재고량은 전년보다 23% 많은 8만 4천 톤 내외로 추정된다.
△10월 가격 전월 대비 강보합세 전망=10월 난지형 마늘 상품 kg당 도매가격은 국내산 마늘 저장량이 많아 평년(3,313원)보다 낮을 전망이다. 10월 가격은 산지출하가 감소하여 전월(2,598원) 대비 강보합세가 전망된다.
△2014년산 마늘 재배의향 12% 감소=농업관측센터 표본농가 조사 결과, 마늘 재배의향이 12% 감소하여 2014년산 마늘 추정 재배면적은 25,860ha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품종별로는 한지형 마늘이 11%, 난지형이 12%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난지형에서 대서마늘은 7%, 남도마늘은 15% 내외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양파
△2013년산 출고량 전년 대비 5% 증가=저장업체 조사결과, 금년 양파 입고량은 66만 톤으로 전년보다 17% 많고 2011년보다 10% 적다. 9월 17일 현재 출고량은 약 8만 톤으로 전년 동기보다 5%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출고량을 제외한 재고량은 전년보다 19% 많은 58만 톤이며 부패율을 적용한 조정재고량은 54만 톤으로 전년보다 17% 많고 2011년보다 11% 적은 것으로 추정된다.△10월 가격 전월 대비 보합세 전망=10월 양파 가락시장 kg당 도매가격은 전년 동월(1,140원)보다 낮고 전월과 비슷한 900~1,000원 수준으로 전망된다.
△2014년산 재배의향 2013년산 대비 6% 증가=2014년산 양파 재배의향면적은 2013년산보다 6%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금년 양파 농가의 수취가격이 전년보다 높아 마늘, 배추 등에서 양파로 작목을 전환하려는 농가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재배의향 조사치를 적용한 2014년산 양파 재배면적은 평년보다 1% 증가한 21,272ha로 추정된다.
■대파
△10월 출하량 전년 동월보다 6% 증가=10월 출하량은 출하면적이 전년 동월보다 5% 증가하고 단수도 1% 증가하여 전체 출하량은 6%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산지인 경기·강원지역의 10월 출하면적이 전년 동월보다 4%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체 출하면적은 5%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10월 도매가격 전월 대비 약세=10월 출하량이 출하면적과 단수 증가로 전년 대비 6% 증가하여, 전년 동월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도매가격은 전월(1,450원) 대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10~11월 정식의향 전년보다 3% 증가=10~11월의 대파 정식의향면적은 전년 대비 3%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호남지역의 출하비중이 높은 4~5월 출하될 예정인 대파의 정식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며 전년 출하기 가격이 높아 재배의향이 증가하였다.
■당근
△고랭지당근 생산량 작년보다 12% 감소=고랭지당근 재배면적은 작년과 평년보다 각각 16%, 15% 감소한 136ha로 조사되었으며, 추정단수를 적용한 생산량은 작년과 평년보다 12% 적은 3,900여 톤으로 추정된다.
△10월 출하량 작년보다 2% 증가=10월 출하량은 작년보다 2%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고랭지당근 출하량은 작년보다 11% 적으나, 가을당근 출하량이 작년보다 26% 많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10월 가격은 작년 수준 전망=10월 당근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평년(상품 35,283원, 중품 29,066원)보다 높은 작년 가격(상품 43,180원, 중품 37,800원) 수준으로 전망된다.
11월 당근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작년(상품 52,231원, 중품 47,019원)보다 낮고 평년(상품 28,153원, 중품 24,061원)보다 높은 10월 가격의 보합세로 전망되나, 겨울당근 출하 가능 물량에 따라 출하조절이 이루어질 경우 가격 변동의 여지가 있다.
■건고추
△2013년산 재배면적 전년산보다 감소= 2013년산 고추 재배면적은 2012년산보다 0.2% 감소한 4만 5,360ha로 확정 발표되었다(통계청, 8.27).
△2013년산 생산량 전년산보다 증가=9월 17일 지역 모니터 및 표본농가 조사결과, 금년산 건고추 10a당 전체 수확량은 전년보다 7% 많은 245kg으로 조사되었다.
정식기(4∼5월) 이후 기상이 양호하여 초기 수확량이 많았으며, 8월 고온·가뭄으로 생육이 부진해졌으나, 8월 하순에 비가 내리면서 생육이 회복되었다.
재배면적(45,360ha)에 추정단수(245kg/10a)를 적용할 경우, 2013년산 건고추 생산량은 전년보다 7% 많은 11만 1,100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민간수입량 전년보다 감소=국산 건고추 가격과 민간수입가능가격이 비슷하여 고추 10월 전체 민간수입량은 전년 동월보다 16% 감소한 7,000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가격 전월과 비슷할 전망=10월 화건 상품 600g당 산지가격은 생산량 증가로 전년 동월(8,390원)보다 낮고 전월(5,250원)과는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