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단위 품목연합회 결성 필요”

김동환 원장은 “전국단위 연합회는 품목별로 세분화하는 것보다 생산방식, 출하시기가 비슷한 유사품목들을 묶어서 만들면 사무국 운영 등의 행정비용도 절감할 수 있고 자조금 규모를 확대할 수 있어서 정책개발 및 입안 등의 대농정활동을 강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식량과 축산에 비해 원예산업은 정부의 주요 정책과제가 아니어서 상대적으로 위상이 낮다는 것이 김 원장의 분석이다.
김 원장은 “농가들이 쌀농사만으로는 소득이 낮아서 채소, 과수를 겸업하고 있지만 가격변동이 폭이 커서 경영안정성이 낮지만 그나마 현금을 만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정부가 양곡 중심의 농정을 해왔고 축산은 생산자 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단합이 잘돼 정부에게 목소리를 높였지만 원예는 농가수가 많고 품목도 다양해 결속력이 덜하기 때문에 이를 조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의 역할에 있어 가격안정 중심의 정책보다는 생산기반을 만드는 것이 수급조절에 더 용이하고 가격중심 정책이 원예산업의 경쟁력을 저하시킨다고 지적했다.
한편, 김 원장은 “원예분야 전업농을 중심으로 한 생산기반을 기본으로 품목농협이 판매사업에 적극 나서야 하고 조합공동법인은 생산기반이 없는 구조를 갖고 있어 판매사업에 어려움이 있다”며 “품목농협이 지역농협과 합병 등을 통한 규모를 키워야 세계적인 품목농협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품목농협 자체보다는 연합회를 만들어야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승우 기자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