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균병, 진딧물, 배추흰나비, 벼룩잎벌레 등 병해충 적기 방제한다.
△마늘·양파=난지형 마늘 파종 시기는 9월 하순~10월 상순경이므로 적기에 파종하고 마늘 종구는 종자 소독 약제로 반드시 소독을 한 다음 심도록 한다.
마늘 주아재배를 하는 경우 일반 마늘보다 1주일정도 일찍 파종하고, 파종 후에는 알맞은 토양수분이 유지되도록 관리한다.
양파 육묘상은 물주기, 웃거름주기, 솎아내기 등을 철저히 하여 우량 묘 생산한다.
△시설채소=촉성재배 시설원예 난방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하우스 피복자재 개선, 온풍난방기의 점검, 지중 가온시설이나 수막하우스 설치, 일사감응 자동변온장치, 온풍난방기 배기열 회수 장치, 중앙권취식 보온터널 자동개폐 장치 등을 설치하여 작물별로 알맞은 온도 관리를 해줄 수 있도록 한다.
△노지고추=수확을 완료한 포장은 병든 고추, 잎, 줄기 등 잔재물 소각 및 제거한다.
비가림재배 고추는 생육상황에 맞는 적정한 웃거름 주기 및 담배나방, 흰가루병 등 병해충 예찰 및 방제 실시한다.
△가을전정에 의한 측지양성=오래된 측지에 결실된 과일의 품질이 떨어지므로 젊은 측지로 갱신하기 위해 묵은 측지를 절단하여 새로운 젊은 측지 양성한다.
톱 등으로 10월 상순경에 묵은 측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측지 굵기의 1/2∼2/3 정도를 쐐기형태(∠)로 잘라두면 측지의 아래쪽에서 이듬해 새로운 신초 발생한다.
새로운 신초가 발생된 후 기존에 이용하던 측지는 2년 동안 착과시킬 수 있어 수량 감소 없이 묵은 측지 갱신한다.
이듬해 묵은 측지 아래쪽에 발생된 신초는 기존 측지가 뻗어 있는 쪽으로 유인을 실시하여 새로운 측지로 양성한다.
기존 측지는 2년간 과일을 착과시켜 수확하고, 예비측지에 단과지가 형성되고 착과가 시작되는 3년차에 묵은 측지 절단한다.
△수확시기 결정=수확시기에 따라 과일 품질이 좌우되므로 수확시기 결정은 매우 중요하고, 1일 작업량은 수확한 과일을 수확당일에 저장고에 바로 입고하는 것을 기준으로 필요한 작업인원 산출 및 수확량 계산한다.
바로 출하용은 유통기간 3∼5일 정도의 품질 변화만 고려하므로 착색도, 조직감(경도) 및 식미가 충분히 성숙되었을 때 수확하고, 지나치게 성숙되면 유통과정에서 급격히 품질 저하한다.
저장용은 장기간 품질변화를 고려해 조직감이나 풍미를 기준으로 삼기는 어려우므로 저장용 과일의 수확기 전분반응 지수 이용한다.
△가을거름주기=가을비료는 질소 비료를 수확기 전후에 주는 것으로 피로했던 가을 잎의 기능을 회복시켜 광합성 능력을 높이고 가을뿌리 발생을 촉진하여 수체내 저장양분 축적으로 이듬해 봄의 순조로운 생육을 한다.
과일 수확 후 잎의 탄수화물 생산량은 9∼10월에도 1㎡당 4∼5g 정도로 5∼7월의 5∼7g과 비교해도 크게 떨어지지 않고, 가을에는 기온이 낮아 동화산물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유리하다.
가을에 주는 비료는 주간, 주지, 부주지 및 측지 등 비교적 굵은 가지에 축적한다.
△화훼=낮과 밤의 온도 변화가 심한 시기에는 장미 노균병, 흰가루병, 국화 흰녹병(白銹病) 등이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환기관리를 잘하고 예방위주로 적용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한다.
겨울철 개화를 위한 국화는 전등 조명으로 일장을 조절하며 전등위치는 식물체 위 90cm 정도로 하고 100w전구를 10~13㎡당 1개씩 설치, 10월 하순까지 전조는 계속 해주며 심야에 3~4시간 조명한다.
단풍나무, 왕벚나무, 명자나무 등 화목류는 옮겨심기를 하고, 모란은 접목을 실시하도록 한다.
국화 전조가 끝난 하우스 포장은 측아가 미숙한 꽃눈이 되어 정상으로 개화하지 못하는 버들눈 발생이 예상되므로 지나친 고온 또는 저온이 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특약용작물=환절기 느타리버섯 재배는 밤과 낮의 기온 차가 매우 크므로 품종별 특성에 맞도록 재배사 환경을 맞추어 주어야 하며 우선 보온·가습시설을 정비하고, 청결히 관리되도록 함. 아울러 주야간 적정온도와 습도 유지로 품질 좋은 버섯이 생산되도록 한다.
겨울철에 느타리버섯을 재배하려는 농가는 종균, 배지 등을 사전에 확보하도록 하여 재배를 위한 작업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수확기에 있는 약초는 맑은 날을 택하여 수확하도록 하고 수확하는 즉시 정선을 잘하여 비닐하우스나 건조기를 이용하여 말리도록 하며, 말릴 때는 초종별 알맞은 온도로 조절하여 질 좋은 약재를 생산하도록 한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주 농사날씨(2013년 9월28일~10월3일)[기상청 발표(9월26일 06:00)]
기온은 9월말에는 평년보다 조금 낮겠으나, 10월초에는 비슷하거나 조금 높겠음.
강수량은 평년(1~8㎜)과 비슷하거나 조금 많겠음.
※ 29~30일 사이 전국적으로 비
● 이번주 농사정보(2013년 9월29일~10월3일)
(벼농사) 완전 물 떼기(이삭 팬 후 30~40일), 적기 수확(벼 알이 90% 이상 황색), 수확 후 관리(일반용: 45~50℃ 정도에서 건조, 종자용: 50℃이하)
(밭작물) 콩·감자·고구마 적기 수확, 보리 파종(파종 전 종자소독)
(채소) 웃거름(무 파종, 배추 정식 후 15일 간격으로 3회), 진딧물·노균병 등 병해충 적기 방제(무·가을배추), 난지형 마늘 적기 파종(9월하순~10월상순), 양파 육묘상 관리, 노지고추 수확 후 잔재물 소각 및 제거
(과수) 가을 전정에 의한 측지 양성, 가을 거름 주기
<농촌진흥청 제공>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