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웃거름은 무 파종 및 배추 정식 후 15일 간격으로 3회 정도 주되 무는 10a당 요소 7~10㎏, 염화칼리 3~4㎏, 배추는 요소 15㎏, 염화칼리는 2회 때만 17㎏을 주고, 생육이 부진한 포장은 요소 0.2%액을 잎에 뿌려주어 생육 촉진한다.
웃거름을 한꺼번에 많이 주면 뿌리에 농도장해를 일으켜 잔뿌리가 많이 나거나 가랑이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노지고추=노지고추는 적기에 수확하여 다음고추의 자람을 촉진하고 효율적인 건조 관리로 상품성 향상, 진홍색으로 완숙된 고추 적기 수확 실시한다.
수확을 완료한 포장은 병든 고추, 잎, 줄기 등 잔재물 소각 및 제거한다. 비가림재배 고추는 생육상황에 맞는 적정한 웃거름 주기 및 담배나방, 흰가루병 등 병해충 예찰 및 방제 실시한다.
△마늘·양파=난지형 마늘 파종 시기는 9월 하순~10월 상순경이므로 적기에 파종하고 마늘 종구는 종자 소독 약제로 반드시 소독을 한 다음 심도록 한다.
마늘 주아재배를 하는 경우 일반 마늘보다 1주일정도 일찍 파종하고, 파종 후에는 알맞은 토양수분이 유지되도록 관리한다.
양파 육묘상은 고온 장해 예방, 잘록병 방제, 습해 예방 등을 철저히 하여 우량 묘 생산한다.
△시설채소=시설원예 난방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하우스 피복자재 개선, 온풍난방기의 점검, 지중 가온시설이나 수막하우스 설치, 일사감응 자동변온장치, 온풍난방기 배기열 회수 장치, 중앙권취식 보온터널 자동개폐 장치 등을 설치하여 작물별로 알맞은 온도 관리를 해줄 수 있도록 한다.
△과실수확=과실은 한 나무에서도 열매 달린 위치에 따라 과실의 익음 때가 다르므로 익은 과실만 골라서 3∼4회 나누어 수확한다.
맛이 들지 않은 미숙과를 출하할 경우 소비가 위축될 수 있으므로 완숙과를 수확하여 포장 규격을 다양하게 출하한다. 신품종 과실은 익음 때를 잘 살펴서 적기에 수확하도록 하고, 크기 및 색깔별로 철저히 선별하여 출하한다.
△과실 품질관리=과실이 품종 고유의 색이 발현되도록 조생종은 수확 10~15일전, 만생종은 수확 30일 전후를 기준으로 과실 봉지를 벗겨 주어야 한다.
후지 사과는 수확 30일 전에 겉 봉지를 벗긴 다음 5~7일 지나서 속봉지를 벗겨 주도록 한다.
과실에 씌운 봉지는 하루 중 과실의 온도가 높아진 오후 2~4시경에 벗겨 주어야 과실의 햇빛데임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사과 과실을 가리고 있는 잎은 따주도록 하고, 햇빛 받는 면이 충분히 착색된 후에는 주의해서 과실을 돌려주도록 한다.
과실 무게로 처진 가지는 묶어 올려서 가지와 가지 사이의 간격을 띄워 햇빛이 잘 들어가도록 하여 과실 전면이 착색되도록 한다.
봉지를 벗기고 4~5일 후 나무 주위의 땅에 반사필름을 깔아 주면 밑 부분에 달린 과실의 색깔이 좋아져 품질을 높일 수가 있다.
△화훼=선인장은 추석이후에 피복물을 일부 제거(차광 35% 수준), 단 정식 주는 70% 수준으로 정도 유지할 것, 줄기썩음병의 발생(온도 15℃이하) 우려가 있어 살균제 살포한다.(푸르겐 등)
스타티스는 종간잡종 품종은 꽃대가 올라온 것을 35~45일내에 채화, 절화는 가을~겨울은 소화경의 개화가 80% 수준의 것.(고온기는 60% 수준)
심비디움은 9~10월 기온이 떨어지고 환기가 잘 안될 때 흑반병이 발생될 확률이 높으므로 유의하고 온도는 야간 18~20℃, 주간 25℃정도로 관리한다.
국화는 겨울철 개화를 위한 전등 조명으로 일장을 조절하는데, 전등위치는 식물체 위 100cm 정도로 하고, 10㎡당 1개씩으로 작물 선단에 100 Lux 밝기로 하며, 전조시간은 10시부터 2시까지 4시간 실시한다.
△인삼재배=인삼의 재배 연수가 오래될수록 염류가 뇌두부위의 표토층으로 많이 올라와 집적되므로 뇌두의 부패율이 높아 결주가 많아진다.
염류장해에 의한 적변삼 및 지상부의 황화현상이 증가하면 수삼의 품질저하 및 생산량이 감소하게 된다. 4년생 이후의 인삼포장에서는 두둑의 표토가 백색으로 변하여 염류가 집적되기 쉽다. 염류가 발견되면 10~11월에 깨끗한 황토 또는 고랑 흙으로 상면에 2~3㎝ 두께로 덮어준다.
△버섯재배=가을철 느타리버섯 재배사는 품종별 버섯 발생에 알맞은 10~16℃ 내외의 온도와 80~85%의 습도를 유지시켜 주고, 균상의 습도 상태에 따라 수시로 환기를 실시하여 품질이 좋은 버섯이 생산되도록 한다.
버섯 발생을 유도하는 주기에는 습도를 3~4일간은 90% 이상으로 관리하여 버섯 발생을 촉진시켜 주고, 버섯이 자라는 상태에 따라 환기를 시켜주고 습도를 조절하여 주도록 한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주 농사날씨(2013년 9월14일~9월19일)[기상청 발표(9월12일 06:00)]
기온은 평년(최저: 12~20℃, 최고: 23~27℃)과 비슷하겠음.
강수량은 평년(3~12㎜)과 비슷하거나 조금 많겠음.
※ 14일 전국 대부분 지방에 비가 오겠음
● 이번주 농사정보(2013년9월12일~9월19일)
(벼농사) 얕게 또는 물 걸러 대기(이삭 팬 이후), 물 떼기(이삭 팬 후 30~40일), 벼멸구 방제(볏대 아래쪽 분제 살포, 전남·경남·충남 등 남·서해안 지역 다발생)
(밭작물) 수확기 밭작물 적기수확(콩, 고구마), 우량종자 수확과 동시에 확보, 맥류(보리, 밀) 파종 준비
(채소) 노지 고추 적기 수확, 벼룩잎벌레·진딧물·노균병 등 병해충 적기 예찰 및 방제 실시(무·배추), 9월하순~10월상순 난지형 마늘 적기 파종, 양파 육묘상은 고온 장해 예방·잘록병 방제·습해 예방
(과수) 익은 과실위주 여러 차례 나누어 수확, 과실 봉지 제거(조생종: 수확 10~15일전, 만생종: 수확 30일전후), 수확전 잎따기, 과실돌리기, 반사필름 설치
(축산) 환절기 질병발생예방 관리(축사 보온, 환기 등), 급수기 청소
<농촌진흥청 제공>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