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산업육성법 제정 체계적 지원 시급
농촌산업육성법 제정 체계적 지원 시급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3.09.16 14: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간지원조직·농촌산업집적화 지구 지정 필요

농업의 신성장동력인 6차산업화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농촌산업육성법을 제정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1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새누리당 이운룡 국회의원 주관으로 개최된 ‘농림축산업의 신성장동력, 6차산업화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에서 농촌경제연구원 김용렬 박사가 이같이 주장했다.
김용렬 박사는 “농촌산업육성계획 수립, 농촌산업사업자 인증을 통한 사업자의 효율적 육성과 체계적 관리 도모, 지역별 농촌산업육성을 담당할 중간지원조직 지정·운영, 농촌산업집적화지구 지정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서 첫 번째 주제 발제에 나선 강원대 이병오 교수는 “농촌에 존재하는 유·무형의 자원(Seeds)과 시장수요(Needs)를 연결시켜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농업과 농촌 지역 특색을 살린 ‘농촌다움’이 6차산업화 추진의 핵심가치가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농식품부 정병우 팀장은 “정부는 농업의 6차산업화를 통해 농업 부가가치 및 농가소득 증대, 일자리 창출, 공동체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2017년 우수 6차산업화 주체 1,000개 육성, 농외소득 증가율 평균 7.5%달성, 농촌지역 일자리 매년 5,000개 창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종합토론에서는 이금옥 농촌진흥청 과장은 농업의 6차산업화를 위해 마을리더, 코디네이터, 중간조직, 플래너, 기획가, 현장전문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할 수 있는 인력 육성의 필요성을 조언했다.
박찬설 미소머금고영농조합법인 대표는 농촌현장의 6차산업화 밀착지원을 위해 중간조직 확충이 시급하고, 농식품 제조가공 촉진을 위해 부가세 감면 또는 감세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농촌산업에 대한 종합적, 체계적 지원 기반을 마련하고자, 국회 주도 하에 관계 전문가와 학계, 언론, 정부부처가 한 자리에 모여 6차산업화 정책추진을 위한 다양한 지원방안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이번 토론회는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토론회와 함께 열린 전시회에서는 6차 산업 관련 농촌진흥청 연구 성과물과 사자발 쑥을 통한 지역활력화 사례(강화), 창업에서 플랜트까지(함양), 농촌을 품은 철도 레일그린(철원), 입는 모시에서 먹는 모시로 달고개 모시마을(서천)등 80여건의 사례를 전시, 시식했다.
토론회를 주최한 이운룡 의원은 “현재 농촌산업과 관련된 규정들은 여러 법에 분산되어 있어 정책·사업간 연계가 부족하고 종합적인 정책 추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농업의 6차산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창업·금융·연구개발·판매·홍보 등 다양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연승우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