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인들이 ICT 기술을 활용해 과학적 영농을 할 수 있도록 농식품 ICT 융복합 확산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확산 대책은 다른 주요 산업 분야에서 ICT를 활용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는 것처럼, 농식품 산업이 미래 성장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이를 위한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번 대책은 관련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파급효과가 큰 분야를 중심으로 ▲ICT 융복합 보급 확산 ▲ICT산업 생태계 조성 ▲기초 인프라 확충 등 3대 분야의 과제들로 구성돼 있다.
농식품부는 성공확산을 위해 기술개발과 사업화가 용이한 시설원예·과수, 축산을 중심으로 성공모델을 확산시키고, 농산물 전자직거래 및 농축산물 이력정보 제공 등 유통 및 소비분야 등까지 다양한 모델을 개발하여 보급할 계획이다
시설원예에는 농가에 첨단 센싱, 모니터링, 제어 등의 IT융합 장비를 지원해 시설원예 작물의 생육환경을 모바일·PC를 통해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그린하우스’를 보급한다.
과수작물은 첨단 센싱 병해충 예찰, 제어 등의 ICT 융복합 장비를 지원하여 생산비 절감 및 고품질 작물을 생산한다.
또한 온습도센서, 화재센서, 인터넷CCTV 등을 이용한 환경제어·위험관리와 자동급이기 등을 활용한 사양관리를 할 수 있도록 축산시설에 보급한다.
로컬푸드 직거래, 학교급식 등에서 유통·저장을 효율화하고, 마을 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농촌관광과 연계하는 프로그램도 보급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2017년까지 시설원예 5,000 농가, 과수 1,500농가, 축산 500농가에 보급하고 유통경영체 등 100개소, 6차산업화 공동체 50개 마을을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우수한 성과모델의 현장 확산을 통해 정부가 초기 시장조성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담당해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수요기관과 IT기업 간 기술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할 (가칭)ICT 융복합 지원센터 설치·운영한다.
제어기, 센서, 경영관리 프로그램 등 HW·SW 국제 표준을 마련해 초기 국내 내수시장을 활성화하고 향후 해외시장 진출이 가능토록 체계를 마련한다.
농식품 ICT 융복합 모델 발굴 및 확산에 필요한 재원은 2017년까지 총 2,249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며, 기존의 R&D 및 정보화 예산을 활용하고, 농업·농촌 현장 확산에 필요한 예산은 시설현대화사업(시설원예, 축산 등)과 연계하여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농식품부 허태웅 정책기획관은 “이번 대책을 통하여 ICT를 활용한 시설농업을 중심으로 생산성과 품질향상에 따른 농가소득 증대 효과가 나타나고, 동시에 농식품 ICT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관련분야 일자리 창출 및 해외 시장 진출 등의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승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