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포인트
농사포인트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3.09.02 17: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지고추=중부지방은 8월 하순, 남부지방은 9월 상순까지 핀 꽃은 붉은 고추를 수확할 수 있으므로 거름분이 부족한 포장은 웃거름을 준다.
역병·탄저병·무름병·담배나방 등 병해충 방제를 잘하여 후기 수확량을 높이도록 한다.
붉은 고추는 가능한 빨리 수확하여 다음 고추가 잘 자라도록 한다.
병든 식물체, 부러진 가지 및 낙엽 등은 조기에 제거하여 병원균 밀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한다.
△가을배추·무=이미 파종되어 싹이 올라온 무는 솎음 작업을 해주되 재배 면적이 많거나 노동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본 잎이 4~5매일 때 1포기를 남기고 솎아준다.
배추는 본 잎이 3~4개정도 자랐을 때 본 밭에 옮겨 심는데 심는 깊이는 모를 기를 때 심겨졌던 깊이만큼 심어야 초기생육이 양호하다.
웃거름은 무 파종 또는 배추 정식 후 15일 간격으로 3회 정도 나누어 알맞은 양을 주도록 하고 벼룩잎벌레, 무름병 등 병해충을 적기에 방제하고 중·남부 지역의 정식시기인 9월 상·중순에 태풍에 의해 정식이 지연되고 결주(빈포기)가 생기는 등의 피해가 발생 할 수 있다.
△고랭지배추·무=수확시기가 된 배추나 무는 적기에 수확 실시하고 비가 온 후 온도가 올라가면 석회결핍증 발생이 우려되므로 토양이 건조하거나 과습하지 않게 관·배수에 유의한다.
△마늘·양파=난지형 마늘은 9월 하순~10월 상순경이 파종 적기이므로 제때 파종할 수 있도록 우량종자, 비닐 등 자재 등을 미리 준비한다.
씨마늘은 뿌리응애와 흑색썩음균핵병 등의 예방을 위해 반드시 적용약제로 소독을 한 후에 심도록 한다.
마늘 주아재배를 하면 우량 씨마늘을 값을 덜 들이고 생산할 수 있으므로 적기에 파종하고 관리를 잘하여 생산비를 줄이도록 한다.
양파는 육묘기간 중 잘록병 방제를 철저히 하고, 종자를 너무 많이 뿌린 경우에는 알맞은 간격으로 솎아 주어 공기가 잘 통하고 햇빛이 잘 들어 모가 튼튼하게 자라도록 관리한다.
△착색기 이후 신초관리=착색기에 신초생장이 정지되어 덕면 밝기를 유지해야 되는데, 세력이 강하면 신초가 계속적으로 생장하여 덕면이 어둡게 되고, 잎에서 만들어진 탄수화물도 소모되어 성숙불량, 숙기지연, 병해 등이 발생된다.
착색기 이후 신초 세력이 강하면 겨울철 전정시 품종, 수령 및 토양에 맞게 간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석대비 과일 품질향상=착색증진 및 당도향상은 과실 커감에 따라 늘어진 가지는 받침대로 지지 또는 끈으로 묶어 햇빛투과 촉진하고 세력이 강한 나무는 질소시비 자제, 칼리시비로 조기 생산유도한다.
사과 수확전 잎따기, 과일돌기기 및 반사필름 피복 등 착색증진, 투광률 낮은 착색봉지 사용하고 주지 또는 부주지 등에 발생된 도장지 제거 및 측면발생 신초 유인한다.
햇빛 투과를 양호하기 위해 반사필름 설치, 웃자란 가지 유인·제거하고 생육기는 적정수분 유지하고, 수확 20~30일전부터 관수 줄여 당도향상 촉진한다. 익은 과일부터 2~3회 분산 수확으로 고품질 과일 생산한다.
△화훼=거베라를 4~5월에 정식한 농가는 수확기에 접어들게 되며 채화시기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홑꽃은 통상화의 수술이 2~3줄 보일 때, 겹꽃은 꽃잎이 충분히 전개 되었을 때 실시하고 채화방법은 손으로 비틀어 꽃대 밑둥까지 완전히 수확한다.
장미는 가을철이 되면서 밤과 낮의 온도차가 심하여 노균병, 흰가루병 등의 발생이 많아지게 되므로 낮에는 환기 관리를 잘 해주고, 밤에는 보온 관리로 급격히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막아 주도록 한다.
△인삼재배=인삼의 재배 연수가 오래될수록 염류가 뇌두부위의 표토층으로 많이 올라와 집적되므로 뇌두의 부패율이 높아 결주가 많아진다.
4년생 이후의 인삼포장에서는 두둑의 표토가 백색으로 변하여 염류가 집적되기 쉽다. 염류가 발견되면 10~11월에 깨끗한 황토 또는 고랑 흙으로 상면에 2~3㎝ 두께로 덮어준다.
△버섯재배=느타리버섯 균상에 피해를 주는 푸른곰팡이병균은 배지나 종균에서 발생하기 시작하여 처음에는 백색의 균사가 자라나 곧 포자가 형성되면서 푸른색을 뛰게 된다.
병든 버섯균은 병원균이 내는 독소에 의하여 죽고 버섯이 발생하지 않거나 발생한 버섯은 황색으로 변하여 죽게 된다.
△약용작물=지황은 9월이 되면 근경이 비대되는 시기이므로 토양 수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관리해주어야 한다. 특히 비닐멀칭 재배포장은 스프링쿨러로 관수시 수분의 침투가 어려우므로 멀칭하단에서 2/3지점과 1/3지점을 세로방향으로 20cm 정도씩 40~50cm간격으로 절단하여 수분이 잘 공급되도록 해주어야 한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주 농사날씨(2013년 8월31일~9월5일)[기상청 발표(8월29일 06:00)]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낮겠음.
강수량은 남해안과 제주, 강원영동은 평년과 비슷, 그 밖의 지방은 적겠음.
※ 남해안 제주는 31일 오전에, 강원영동은 31일부터 9월 2일사이에 비가 오겠음.
● 이번주 농사정보(2013년 8월31일~9월5일)
(벼농사) 얕게 또는 물 걸러 대기(이삭 팬 이후), 물 떼기(이삭 팬 후 30~40일), 태풍영향시 논 물꼬 넓힘(산간지 계단논)·4~6포기씩 묶어세우기(황숙기 이전에 쓰러진 벼)·물 빼기(수확기에 쓰러진 벼)·조기수확(수확기 조생종 벼)
(밭작물) 수확기 밭작물 적기수확(고랭지 씨감자 등), 병해충 방제 및 병든 식물체 제거(콩), 맥류(보리, 밀) 파종 준비 
(채소) 수확후 2~3일 후숙(노지고추), 솎음 작업(무), 본 밭에 이식(배추), 적기수확(고랭지 배추·무), 우량종자·자재 준비(난지형 마늘)
(과수) 햇빛투과 촉진, 수확전 잎따기, 과일돌리기, 반사필름 설치, 웃자란 가지 유인·제거, 도장지 제거 및 측면발생 신초 유인
(축산) 질병발생예방 관리(축사 보온, 환기 등), 급수기 청소
<농촌진흥청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