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특작 연구동향 리포트
원예특작 연구동향 리포트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3.09.02 16: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예치료가 통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연구기관
△스위스 : Zurzach Rehabilitation Foundation
△미국 : Texas A&M 대학, Kansas State 대학
△한국 : 배재대 등
■ 연구내용
관상식물의 병실 배치가 통증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관엽류와 초화류를 함께 둔 방과 관엽류만을 배치한 방에 있던 대상자들이 아무것도 배치하지 않은 방의 대상자들에 비해 한냉압박검사(Cold Pressor Test:CPT)에서 통증저항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엽류와 초화류를 함께 둔 방과 관엽류만을 배치한 방에 있던 대상자들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식물이 조망되는 곳에 입원한 외과 수술환자들에게 있어 통증조절을 위한 진통제 사용이 감소됐다.
호스피스 환자들에게 원예치료를 실시 한 결과, 통증도표평정 상 전반적인 통증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예작업 과정에서의 집중으로 인한 전환 효과로 고찰된다.
Zurzach Rehabilitation Foundation과 Swiss Confederation's Innovation Promotion Agency의 지원으로 물리치료사, 의사, 간호사, 사회과학전공 교수로 구성된 임상 연구진이 Swiss, Zurzach에 위치한 재활전문기관인 'RehaClinic'에서 원예치료가 통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대상은 'Reh-aClinic'에서 수행되고 있는 Zurzach 학제간 통증관리프로그램(Zurzach Interdisciplinary Pain Program:ZISP)을 받고 있는 만성 근골격계 통증(섬유근육통, 만성 비특이성 요통) 입원환자 79명(실험군 37명, 대조군 42명)이다. 
회기별 원예치료는 식물에 대한 이론적 정보 제공 10분, 지각훈련 10분, 정원요소 및 식물을 이용한 25~30분간의 신체작업, 적응된 통증협응전략 훈련을 위한 10-15분간의 휴식으로 구성되어, 주 2회, 4주 동안 총 7회기 수행되었고, 1회기는 1시간으로 구성된다.
의학적 결과 단축형 검사(SF-36)상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신체기능, 정신건강이 향상되었고, 불안(HADS anxiety) 및 통증(MPI pain severity)이 감소하였으며, 통증협응능력(CSQ ability to reduce pain)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 기술수준과 전망
국내에서는 일부 작업치료영역에서 원예를 이용하고는 있으나 체계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운동, 물리치료, 재활의학적 영역 등에서 근골격계마비, 부동 등과 같은 증상에는 연구가 수행된 적이 있으나 근골격계 통증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향후 치유농업의 일환으로서, 임상학적으로 다양한 분야에 대한 원예치료의 효과가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및 사이트
● Kim K. H. et al. 2006.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serum cortisol, pain,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hospice patients. Kor. J. Hort. Sci. Technol. 24(1):95-103
● Martin L. Verra et al. 2012. Horticultural Therapy for Patients With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Results of a Pilot Study. Altern Ther Health Med. 18(2):44-50
● Park S.H. et al. 2004. Pain tolerance effects of ornamental plants in a simulated hospital patient room. ISHS Acta Horticulturae 639
● Park S.H. and R.H. Mattson. 2008. Effects of flowering and foliage plants in hospital rooms on patients recovering from abdominal Surgery. HortTechnology. 18(4):563-108.
● Ulrich, R.S. 1984. View through a window may influence recovery from surgery. Science 224:420-421.

■ 자료제공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박사후연구원 이상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