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병·탄저병·무름병·담배나방 등 병해충 방제를 잘하여 후기 수확량을 높이도록 한다.
붉은 고추는 가능한 빨리 수확하여 다음 고추가 잘 자라도록 한다.
병든 식물체, 부러진 가지 및 낙엽 등은 조기에 제거하여 병원균 밀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한다.
△가을배추·무=이미 파종되어 싹이 올라온 무는 솎음 작업을 해주되 재배 면적이 많거나 노동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본 잎이 4~5매일 때 1포기를 남기고 솎아준다.
배추는 본 잎이 3~4개정도 자랐을 때 본 밭에 옮겨 심는데 심는 깊이는 모를 기를 때 심겨졌던 깊이만큼 심어야 초기생육이 양호하다.
웃거름은 무 파종 또는 배추 정식 후 15일 간격으로 3회 정도 나누어 알맞은 양을 주도록 하고 벼룩잎벌레, 무름병 등 병해충을 적기에 방제한다.
△고랭지배추·무=고온 및 가뭄의 영향으로 생육이 저조한 포장은 관수시설을 이용하여 물주기 실시하고 석회결핍증 예방을 위해 토양이 건조하거나 과습하지 않게 관·배수에 유의한다.
△마늘·양파=난지형 마늘은 9월 하순~10월 상순경이 파종 적기이므로 제때 파종할 수 있도록 우량종자, 비닐 등 자재 등을 미리 준비한다.
씨마늘은 뿌리응애와 흑색썩음균핵병 등의 예방을 위해 반드시 적용약제로 소독을 한 후에 심도록 한다.
마늘 주아재배를 하면 우량 씨마늘을 값을 덜 들이고 생산할 수 있으므로 적기에 파종하고 관리를 잘하여 생산비를 줄이도록 한다.
양파는 육묘기간 중 잘록병 방제를 철저히 하고, 종자를 너무 많이 뿌린 경우에는 알맞은 간격으로 솎아 주어 공기가 잘 통하고 햇빛이 잘 들어 모가 튼튼하게 자라도록 관리한다.
△장마후 고온기 과원관리=웃자란 가지를 솎아내거나 유인하여 나무 내부까지 햇볕이 골고루 들어갈 수 있도록 하되 지나치지 않도록 한다.
과일들이 강한 직사광을 직접 받지 않게 가지를 배치하고 지나친 하계전정은 피한다.
새가지는 아래로 유인하여 꽃눈분화 유도 및 수형 안정 도모하고 배수로 확보 및 적절한 관수로 원활한 뿌리 생육도모, 야간온도가 높을 경우 해질 무렵부터 2시간 정도 수관상부 미세살수한다.
△추석대비 과일 품질향상=과실 커감에 따라 늘어진 가지는 받침대로 지지 또는 끈으로 묶어 햇빛투과 촉진한다.
세력이 강한 나무는 질소시비 자제, 칼리시비로 조기 생산유도하고 사과 수확전 잎따기, 과일돌기기 및 반사필름 피복 등 착색증진, 투광률 낮은 착색봉지 사용하고 주지 또는 부주지 등에 발생된 도장지 제거 및 측면발생 신초 유인한다.
당도향상은 햇빛 투과를 양호하기 위해 반사필름 설치, 웃자란 가지 유인·제거하고 생육기는 적정수분 유지하고, 수확 20~30일전부터 관수 줄여 당도향상 촉진, 익은 과일부터 2~3회 분산 수확으로 고품질 과일을 생산한다.
△착색기 이후 신초관리=착색기에 신초생장이 정지되어 덕면 밝기를 유지해야 되는데, 세력이 강하면 신초가 계속적으로 생장하여 덕면이 어둡게 되고, 잎에서 만들어진 탄수화물도 소모되어 성숙불량, 숙기지연, 병해 등이 발생된다.
△화훼=장미는 가을철이 되면서 밤과 낮의 온도차가 심하여 노균병, 흰가루병 등의 발생이 많아지게 되므로 낮에는 환기 관리를 잘 해주고, 밤에는 보온 관리로 급격히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막아 주도록 한다.
국화 흰녹병은 습기가 많을 때 발생이 되어 가장 피해가 많은 병으로 병에 걸린 잎은 바로 제거하고, 환기를 잘하여 습도를 낮추어 주도록 하며, 발병 초기에 적용약제를 바꾸어 가며 방제하는 것이 중요하고, 잎의 뒷면까지 약액이 묻도록 살포한다. 카네이션 재배 포장은 녹병, 총채벌레, 응애 등을 중심으로 병해충 방제를 해 준다.
△인삼재배=인삼 모밭은 고온기(6~8월)에 토양수분함량이 부족하거나 토양염류농도가 높아 뿌리털의 발달이 불량하고 해가림이 부실하여 오후에 상면으로 햇빛이 들어오면 고온장해 발생이 심해진다.
한여름과 생육후기에는 관수량이 적으면 달랭이 묘삼이 많이 생기므로 아침 또는 저녁에 15~18ℓ씩 충분히 관수해야 한다. 경제적인 관수는 관수할 때마다 뿌리 끝에서 5~10cm 정도의 하층까지 스며들 수 있는 양이어야 한다. 토직모밭은 일시에 많은 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지 않으므로 2~3회 반복하여 관수한다.
△버섯재배=느타리버섯 균을 기르는 동안에는 배지 내의 온도가 초기 22~23℃, 중기 23~25℃가 되므로 재배하는 품종에 따라 알맞은 온도로 관리해 주어 충실한 버섯으로 자랄 수 있도록 균상을 관리하도록 한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주 농사날씨(2013년8월24일~8월29일) [기상청 발표(8월22일 06:00)]
기온은 평년(최저: 18~24℃, 최고: 26~30℃)보다 비슷하거나 조금 높겠음.
강수량은 평년(5~17㎜)과 비슷하거나 조금 많겠음.(29일 전국에 비)
● 이번주 농사정보(2013년 8월17일~8월22일)
(벼농사) 이삭 팬 후 물 얕게 대거나 물걸러대기, 이삭 팬 후 30~40일경 완전 물떼기, 잎도열병·이삭도열별·세균성벼알마름병·잎집무늬마름병·벼멸구 등 병해충 방제
(밭작물) 수확기 밭작물은 적기 수확하여 무·배추 정식 등 뒷그루 작물 파종 늦지 않게 주의, 맥류(보리·밀) 파종 준비. [콩] 노린재류 등 병해충 2차 동시 방제, [감자] 적기 수확
(채소) [노지고추] 역병·탄저병·무름병·담배나방 등 병해충 방제, 수확 후 2~3일 정도 후숙 건조(희나리 발생 줄임) [가을배추·무] 솎음 작업, 무 파종 또는 배추 정식 후 15일 간격 3회 웃거름, 벼룩잎벌레·무름병 등 병해충 적기 방제 [마늘·양파] 난지형 마늘 종자 및 자재 준비, 씨마늘 소독 후 파종, 양파는 육묘기간 중 잘록병 방제 철저
(과수) 장마 후 고온기 과원관리(웃자란가지 솎아내기, 새가지 유인, 배수로 확보, 미세살수), 착색 및 당도 관리(반사필름 설치, 투광률 낮은 착색봉지 사용
<농촌진흥청 제공>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