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포인트
농사포인트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3.08.19 16: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지고추=고온이 지속되꽃이 떨어지거나 착과가 잘되지 않으므로 관수시설을 이용하여 적기에 물을 줄 수 있도록 한다.
탄저병에 걸린 고추가 발견되는 즉시 제거하고, 수확 후 고추대, 잎 등을 완전히 없애 포장을 깨끗하게 관리한다. 붉은 고추 수확 가능 개화기는 중부지방 8월 하순, 남부 9월 5일 정도이므로 거름기가 부족하지 않도록 웃거름을 준다.
적기에(진홍색으로 되었을 때) 수확하여 다음에 달리는 고추의 자람을 좋게 해 주고, 적온에서 건조하여 품질을 높이도록 한다.
붉은 고추를 말리기 전에 고추세척기를 사용하여 농약 등 불순물을 씻어내어 청결한 고추를 생산토록 한다.
△가을배추·무=가을배추·무 파종에 알맞은 시기는 중부 지방이 8월 중순, 남부 지방이 8월 하순경이므로 제때에 파종토록 한다.
가을배추 육묘상은 망사 터널을 설치하여 바이러스병을 예방하고 배추 뿌리혹병 예방을 위해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포장은 돌려짓기를 하고 산도를 7.2 이상 유지하며 정식 전 에 방제약제를 처리한다.
△고랭지배추·무=온도가 높아지면 무름병 발생이 예상되므로 배수로를 정비하고 예방위주로 방제약제 살포한다.
석회결핍증 예방을 위해 토양이 건조하거나 과습하지 않게 관·배수에 유의한다.
△장마후 고온기 과원관리=웃자란 가지를 솎아내거나 유인하여 나무 내부까지 햇볕이 골고루 들어갈 수 있도록 하되 지나치지 않도록 한다.
과일들이 강한 직사광을 직접 받지 않게 가지를 배치하고 지나친 하계전정은 피한다.
새가지는 아래로 유인하여 꽃눈분화 유도 및 수형 안정 도모하고 배수로 확보 및 적절한 관수로 원활한 뿌리 생육도모, 야간온도가 높을 경우 해질 무렵부터 2시간 정도 수관상부 미세살수한다.
△추석대비 과일 품질향상=착색증진 및 당도향상은 과실 커감에 따라 늘어진 가지는 받침대로 지지 또는 끈으로 묶어 햇빛투과 촉진하고 세력이 강한 나무는 질소시비 자제, 칼리시비로 조기 생산유도한다.
사과 수확전 잎따기, 과일돌기기 및 반사필름 피복 등 착색증진하고 투광률 낮은 착색봉지 사용, 주지 또는 부주지 등에 발생된 도장지 제거 및 측면발생 신초 유인한다. 햇빛 투과를 양호하기 위해 반사필름 설치, 웃자란 가지 유인·제거하고 생육기는 적정수분 유지하고, 수확 20~30일전부터 관수 줄여 당도향상 촉진한다.
△화훼=오리엔탈 나리는 정식 전에 구근에 상처가 없고 뿌리가 많으며 병해충 피해가 없는 것 중에서 새싹이 정상적으로 자란 우량 종구를 선택하여 심도록 한다.
카네이션은 고온, 저온을 지나면서 병해충 발생이 우려되는데 온습도 관리를 잘 해 주고 병해충 예찰을 잘하여 카네이션에서 발생되는 녹병, 반점세균병, 총채벌레, 응애 등에 대한 병해충 방제를 실시한다.
거베라 재배농가 중 적엽을 실시한 농가는 8월중으로 적엽을 완료하도록 하고 지나친 적엽으로 화수마름현상(꽃목이 말라 꽃이 자라지 못하고 시드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개화에 필요한 최소 엽수(큰 잎 30매정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국화를 12월 하순부터 출하목표로 재배를 계획하는 농가는 삽목을 실시. 삽목은 정아삽을 원칙으로 하고 삽수는 전개엽을 3매정도 붙인 길이 5∼6cm정도의 것이 적당하다.
스타티스는 번무하지 않도록 수확본수를 조절하고 추대한 화경을 적절히 적심하여 여름철 고온을 받은 후 가을에 하부의 가지가 유엽(어린잎)이 되거나 꽃봉오리의 맺힘이 나빠지지 않도록 관리한다.
△버섯재배=가을철 느타리버섯 재배 농가에서는 종균은 허가된 배양소에 미리 신청해두고, 폐솜, 볏짚 등을 미리 구입하도록 한다.
볏짚과 폐솜은 물에 젖지 않고 병해충 발생이 없었던 것을 선택하여야 하며, 오염 물질이 없고 폐솜 외 타 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하고 안전한 재배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버섯 배지(볏짚, 폐솜)를 균상에 입상하면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살균작업을 완료하여 잡균의 침입과 증식을 예방하도록 한다.
△약용작물 수확=수확기가 된 약초는 토양선충 등에 의한 피해가 우려되므로 적기에 수확하여 품질을 높이도록 한다.
오미자는 가능한 맑은 날 열매에 이슬이 완전히 말랐을 때 수확하여야 수확작업이 불편하지 않고 적정 수분 유지가 가능하여 품질을 높일 수 있다.
구기자를 화력 건조기로 말릴 때는 50℃에서 2시간 예비건조 한 후 60℃에서 26시간 정도 말리며, 오미자는 40℃ 정도에서 건조하고 건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높은 온도에서 말리면 상품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천천히 말려 약초의 고유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주 농사날씨(2013년 8월17일~8월22일) [기상청 발표(8월15일 06:00)]
기온은 평년(최저: 19~25℃, 최고: 26~31℃)보다 비슷하거나 조금 높겠음.
강수량은 중부지방은 평년(4~17㎜)과 비슷하겠으며, 그 밖은 적겠음.
※ 18~19일 중부지방에 비, 낮 최고기온 33℃내외(농업활동 주의)
● 이번주 농사정보(2013년 8월17일~8월22일)
(벼농사) 이삭 팬 후 물 얕게대거나 물걸러대기, 이삭 팬 후 30~40일경 완전 물떼기, 잎도열병·이삭도열별·잎집무늬마름병·벼멸구·혹명나방 등 병해충 방제
(밭작물) 밭작물 알곡에 중요한 시기이므로 병해충 및 기상재해 받지 않도록 관리, [콩] 노린재류 등 병해충 동시 방제, [감자] 수확·유통·저장 중 감자뿔나방 피해 관리,
(채소) [노지고추] 관수시설 이용 적기 물 공급, 탄저병 발병과 즉시 제거, 홍고추 수확 가능 개화기(중부 8월 하순, 남부 9. 5일경), [가을배추·무] 적기파종(중부: 8월 중순, 남부: 8월 하순), 육묘상 망사터널 설치(바이러스병 예방) [고랭지배추·무] 배수로정비
(과수) 장마 후 고온기 과원관리(웃자란가지 솎아내기, 새가지 유인, 배수로 확보, 미세살수), 착색 및 당도 관리(반사필름 설치, 투광률 낮은 착색봉지 사용
<농촌진흥청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