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육이 부진한 포장은 요소 엽면시비를 하여 수량을 높이도록 한다.
고추는 적기에(진홍색으로 되었을 때) 수확하여 다음에 달리는 고추의 자람을 좋게 해 주고, 적온에서 건조하여 품질을 높이도록 한다.
△양파 육묘상 태양열 소독=양파 노균병 및 잘록병을 예방하기 위해 모기르기 예정지에 태양열 소독을 실시하면 효과적이다.
태양열 소독하는 방법은 여름 고온기인 7월 하순~8월에 석회질소를 10a당 40~60kg를 살포하고 로타리를 친 다음 1개월 정도 비닐로 피복해 주거나, 모판으로 사용할 곳에 물을 대고 1개월 정도 비닐피복을 실시한다.
비닐피복을 실시 할 때는 찢어진 비닐은 사용하지 말아야 하고 비닐 가장자리와 흙이 잘 밀착되도록 해야 한다.
△고랭지배추·무=장마이후 온도가 높아지면 무름병 발생이 예상되므로 배수로를 정비하고 예방위주로 방제약제 살포한다.
석회결핍증 예방을 위해 토양이 건조하거나 과습하지 않게 관·배수에 유의한다.
△장마이후 고온대비 시설채소 생육환경 관리=햇빛이 강하거나 온도가 높을 때 에는 환풍기를 가동하거나 차광망을 설치하여 고온 및 일사피해 예방한다.
생육이 부진한 작물은 요소 0.2%액(물20L에 40g) 또는 제4종복합비료 엽면살포한다.
예방 위주의 적용약제 살포로 병해충 적기방제한다.
△장마후 고온기 과원 관리=웃자란 가지를 솎아내거나 유인하여 나무 내부까지 햇볕이 골고루 들어갈 수 있도록 하되 지나치지 않도록 한다.
과실들이 강한 직사광을 직접 받지 않게 가지를 배치하고 지나친 하계전정은 피한다.
새가지는 아래로 유인하여 꽃눈분화 유도 및 수형 안정 도모하고 배수로 확보 및 적절한 관수로 원활한 뿌리 생육도모, 야간온도가 높을 경우 해질 무렵부터 2시간 정도 수관상부 미세살수한다.
△복숭아 착색관리 및 수확=복숭아 이중봉지는 벽돌색 겉봉지의 속은 검정색으로 햇볕이 전혀 투과되지 않는 봉지로 수확 1∼2주전 겉봉지를 벗기면 하얀색의 과피에서 붉은색으로 착색된다.
반사필름은 국내 일부 농가에서 사과재배농가에서 사용하는 알루미늄 호일 재질을 사용하지만 이 반사필름은 반사율이 너무 높아 수관하부의 온도를 높여 과실의 일소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복숭아의 결과지 위치나 수관의 내외부 조건에 따라 숙도차가 크게 다르므로 수확 초기에는 2일마다 하고 최성기에는 매일 수확한다.
수확방법은 과실을 손바닥 전체로 가볍게 잡고 과실을 가지 끝으로 향하도록 들어서 손가락 눌림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수확한다.
수확바구니는 압상이 생기지 않도록 내부에 부드러운 스펀지 등을 부착해서 사용하고 스티로폼 상자를 이용한다.
△화훼=글라디올러스 시설 내 억제재배(8월 중∼)를 하는 농가는 구근을 정식한다.
정식시 유의점은 1∼2등구(구주 : 16∼18cm 정도)를 사용하며, 다소 깊게 정식(고온기), 하고 정식 후 충분히 관수한 후 멀칭과 해가림을 실시한다.
한 구근에 한 개의 싹만 자라게 하며 온도와 일장에 둔감하고 저온 저조도기에도 잘 개화하며 소화수가 많이 달리는 품종을 선택한다.
정식 4∼5일 전부터 지면을 피복하여 지온의 상승 방지한다.
접목선인장 온실온도 관리 주의 : 적극적 차광과 환풍으로 고온 방지한다.
대목인 삼각주 관리 유의 : 온실 내 관리를 40℃이하 및 습해 방지한다.
△버섯재배=버섯은 재배 환경조건에 민감하기 때문에 품종별로 특성에 맞는 온도, 습도, 환기량 등을 가능한 최적 조건으로 관리한다.
가을 느타리버섯은 환경에 적합한 품종을 선택하고 재배시기에 알맞게 우량배지를 주문하여 가을 재배 준비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또한 가을 재배에는 세균성 갈변병과 버섯파리 방제를 철저히 하고, 물주기 작업 후 버섯 표면의 수분이 빠른 시간에 증발되도록 환기에 유의한다.
△약초재배=구기자와 오미자 등 수확시기에 있는 약초는 익음 때를 잘 맞추어 적기에 수확하여 품질을 높이도록 한다.
수확한 약초를 화력 건조기를 이용하여 말릴 때에는 알맞은 온도로 말려서 상품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목단, 작약, 천궁 등 가을에 심는 약초의 종자나 종묘는 미리 준비하여 적기에 심도록 한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주 농사날씨(2013년 8월3일~8월8일) [기상청 발표(8월1일 06:00)]
기온은 중부지방은 평년과 비슷,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조금 높겠음.
강수량은 평년(4~22㎜)보다 많겠으나 경상남도와 제주도는 적겠음.
※ 4~5일 서울·경기도·강원영서지역 많은 비 예상. 내륙은 낮기온 30℃이상.
● 이번주 농사정보(2013년 8월3일~8월8일)
(벼농사) 논물관리(이식패기 15일전~이삭 팬 후 10일까지 항시 담수), 잎도열병·이삭도열별·잎집무늬마름병·혹명나방·먹노린재 등 병해충 동시 방제
(밭작물) 콩포장 배수구 정비, 곡실용 옥수수·참깨 줄지주 설치, 참깨 시들음, 잎마름병, 등 병해충 방제시 동시방제 약제 선택하여 예방위주 방제, 가을감자 적기파종(중부: 8월 상중순, 남부: 8월 중하순)
(채소) 고추: 생육부진포장 요소 엽면시비, 탄저병·담배나방 예방 위주 방제; 양파: 육묘상 태양열 소독; 무: 무름병 예방위주 약제 살포, 진딧물·배추좀나방 등 해충 적기 방제
(과수) 장마 후 고온기 과원관리(웃자란가지 솎아내기, 새가지 유인, 배수로 확보, 미세살수), 복숭아 수확 1~2주전 겉봉지 제거
<농촌진흥청 제공>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