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목별 ‘농작업 유해요인 개선방안’ 발간
작목별 ‘농작업 유해요인 개선방안’ 발간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3.08.02 19: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작목별 농작업 단계에서 나타는 문제점을 진단,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알기 쉽게 소개한 ‘농작업 유해요인 개선방안’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 책자는 2006년부터 추진한 농작업 안전모델 시범마을의 농작업 유해요인 진단 결과에 따른 다각적인 개선처방(농업인 안전 교육과 농작업 환경개선, 건강관리 등)과 국립농업과학원의 작업환경 건강 유해요인 연구결과를 근거로 만들었으며 의학, 인간공학 등 전문가로 구성된 농작업안전보건전문위원의 감수를 받아 자료의 전문성과 신뢰도를 높였다.
농작업 재해를 일으키는 인간공학적 유해요인(장시간 쪼그려 앉거나 허리를 구부리는 자세, 반복적인 수확물 운반 등 근골격계 질환), 화학적 유해요인(농약, 석면, 분진, 유해가스 등), 생물학적 유해요인(미생물, 감염성 질환 등), 물리적 유해요인(온열, 소음, 진동 등), 기타 유해요인(안전 불감증, 농기계 안전사고 등)과 관련해 작목별 농작업 단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의 개선방안을 개선 전후 사진과 함께 수록해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했다.
농촌자원과 이금옥 과장은 “농촌진흥청은 그동안 지속적인 농작업 안전 기술지원을 통해 농작업 사고와 질병으로부터 농업인을 보호하는데 노력해왔다”며 “이번에 발간한 ‘농작업 유해요인 개선방안’을 안전하고 건강한 농작업 환경 조성과 농업인 건강을 위한 농작업 안전관리 지침서로 활용해 행복한 농업농촌을 실현하는데 앞장서 주시기 바란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