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포인트
농사포인트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3.07.29 16: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지고추=침수가 되었거나 과습한 포장에서는 역병, 탄저병 등의 병해가 발생되기 쉬우므로 예방 위주로 적용 약제를 살포한다.
총채벌레에 의한 바이러스와 기형과 발생 및 품질저하가 우려되므로 적용약제를 사용하여 방제토록 하고, 바이러스 이병주는 가능하면 빨리 제거한다.
장마가 끝난 후 날씨가 무더워지면 탄저병과 담배나방 발생이 심하게 되므로 예방 위주로 방제한다.
생육이 부진한 포장은 요소 엽면시비를 하여 수량을 높이도록 하고 고추는 적기에(진홍색으로 되었을 때) 수확하여 다음에 달리는 고추의 자람을 좋게 해 주고, 적온에서 건조하여 품질을 높이도록 한다.
△고랭지배추·무=장마이후 온도가 높아지면 무름병 발생이 예상되므로 배수로를 정비하고 예방위주로 방제약제 살포한다.
석회결핍증 예방을 위해 토양이 건조하거나 과습하지 않게 관·배수에 유의한다. 진딧물, 배추좀나방 등 해충 적기방제 실시한다.
△시설과채류 관리=토마토는 병에 걸린 식물체는 조기에 제거하여 전염원을 차단하고 웃자란 식물체는 잎의 2/3정도를 남기고 끝부분을 절단한다.
질소비료를 알맞게 주어 줄기가 굵어지지 않도록 관리, 적절한 환기관리로 시설 내 온·습도를 낮추어 병해 예방한다.
수박 기형과는 빨리 제거하여 다음 열매의 안전착과를 유도, 열매터짐 예방을 위해 알맞은 토양수분을 유지하고 일소과 방지를 위해 신문지, 짚 등으로 열매 덮어주기한다.
풋고추는 시설 내 알맞은 습도 유지와 진동수분 실시로 착과 증진하고 풋마름병, 진딧물, 총채벌레, 담배나방 등 병해충 초기방제한다.
△장마이후 고온대비 시설채소 생육환경 관리=햇빛이 강하거나 온도가 높을 때에는 환풍기를 가동하거나 차광망을 설치하여 고온 및 일사피해 예방한다.
생육이 부진한 작물은 요소 0.2%액(물20L에 40g) 또는 제4종복합비료 엽면살포한다. 예방 위주의 적용약제 살포로 병해충 적기방제한다.
△장마후 고온기 과원관리=웃자란 가지를 솎아내거나 유인하여 나무 내부까지 햇볕이 골고루 들어갈 수 있도록 하되 지나치지 않도록 한다.
과실들이 강한 직사광을 직접 받지 않게 가지를 배치하고 지나친 하계전정은 피한다.
새가지는 아래로 유인하여 꽃눈분화 유도 및 수형 안정 도모하고 배수로 확보 및 적절한 관수로 원활한 뿌리 생육도모, 야간온도가 높을 경우 해질 무렵부터 2시간 정도 수관상부 미세살수한다.
△복숭아 착색관리 및 수확방법=복숭아 이중봉지는 벽돌색 겉봉지의 속은 검정색으로 햇볕이 전혀 투과되지 않는 봉지로 수확 1∼2주전 겉봉지를 벗기면 하얀색의 과피에서 붉은색으로 착색된다.
복숭아의 결과지 위치나 수관의 내외부 조건에 따라 숙도차가 크게 다르므로 수확 초기에는 2일마다 하고 최성기에는 매일 수확한다.
수확방법은 과실을 손바닥 전체로 가볍게 잡고 과실을 가지 끝으로 향하도록 들어서 손가락 눌림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수확한다.
수확바구니는 압상이 생기지 않도록 내부에 부드러운 스펀지 등을 부착해서 사용하고 스티로폼 상자를 이용한다.
△화훼=10월 하순에서 11월 중순 개화작형 국화재배농가는 삽목한 묘를 정식하도록 한다.
덴드로비움은 개화기로서 이 시기에는 지주세우기를 실시하고 다습하지 않도록 관수에 주의한다.
스타티스 (오션불루 계통)의 단경기 수확이 시작되는 시기로서, 꽃이 전체로 보아서 70-80% 개화된 것으로 수확을 시작한다.
하우스에서 재배 중인 장미, 국화, 백합 등 화훼류는 고온에서는 품종의 고유색이 발현되지 않고 웃자라게 되므로 햇볕이 강한 날에는 차광막을 쳐주고, 강제 환풍을 통해 온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진딧물, 응애, 총채벌레 등 해충이 발생한 포장에서는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버섯재배=여름철 느타리버섯 재배가 끝나면 재배사를 증기열 등으로 소독을 철저히 하고, 재배사 주변도 청결히 관리하여 병원균 밀도를 낮추어 준다.
재배사가 밀집된 곳에서는 가급적 공동소독을 실시하여 충분한 소독효과를 얻도록 한다.
가을 느타리버섯을 재배하려는 농가는 종균, 우량배지 등 자재를 사전에 준비하도록 한다.
종균은 허가받은 종균배양소에서 생산된 우량 제품을 구입하고 재배하고자 하는 버섯 종균의 특성을 사전에 확인한다.
△약용작물 재배=당귀, 작약 등 숙근성 약용작물은 과습한 상태가 계속되면 뿌리가 상하게 하므로 포장의 수분상태를 점검한다.
장마기간에 웃거름을 주지 못한 약초는 서둘러 웃거름을 주고, 풀이 많은 약초밭은 흙넣기를 겸하여 김매기를 해준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주 농사날씨(2013년 7월27일~8월1일) [기상청 발표(7월25일 06:00)]
기온은 평년(최저: 20~25℃, 최고: 27~33℃)과 비슷하거나 조금 낮겠음.
강수량은 평년(3~15㎜)보다 비슷하거나 조금 많겠음.
※ 내륙지역 대기불안정으로 소나기 잦음. 남부지역 낮기온 30℃이상인 날 많음
● 이번주 농사정보(2013년 7월27일~8월1일)
(벼농사) 논물관리(이식패기 15일전~이삭 팬 후 10일, 항시 담수, 이삭패기 전 피 제거, 잎도열병, 혹명나방, 먹노린재 등 병해충 방제
(밭작물) 논콩 배수구 정비, 곡실용 옥수수·참깨 줄지주 설치, 참깨 시들음, 잎마름병, 등 병해충 방제시 동시방제 약제 선택하여 예방위주
(채소) 고추: 생육부진포장 엽면시비, 총채벌레 방제 및 방이러스 이병주 제거, 적기 수확; 무: 무름병 예방위주 약제 살포, 진딧물·배추좀나방 적기 방제
(과수) 장마 후 고온기 과원관리(웃자란가지 솎아내기, 새가지 유인, 배수로 확보, 미세살수), 복숭아 수확 1~2주전 겉봉지 제거
<농촌진흥청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