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원예산업 발전은 시설자재 표준화로부터
시설원예산업 발전은 시설자재 표준화로부터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3.07.29 15: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 농민이 초토화된 장미 재배농장을 넋을 잃고 바라보고 있었다. 두 아들을 대학에 보내고 초등학생인 늦둥이까지 볼 수 있게 해 주었던 농장이었다. 2010년 태풍 곤파스가 그에게 안긴 시련이었다. 계속하여 농사지을 의욕을 상실했기에 30년간 쌓아온 소중한 장미 재배기술이 사장되는 순간이었다.
원예시설의 재해가 발생하면 이처럼 잃는 것이 너무 많다. 국민들은 치솟은 원예작물 가격에 당장 정부와 농민을 탓한다. 2011년 겨울에는 포항에 대설이 내려 눈이 허리까지 올라왔었고 부추 값이 치솟았었다.
원예시설에서는 주로 채소와 화훼를 재배하고 있으며 99%가 비닐로 덮인 온실이다. 흔히 비닐하우스라고 불리는 이 온실이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해마다 2,200ha씩 태풍과 대설로 무너져 내렸다. 피해액이 최소 2,200억 원이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2007년부터 태풍과 대설에 대비하여 비닐하우스 내재해형 규격을 보급하기 시작했으며, 보급면적을 확대할 예정이다.
비닐하우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40여 종류의 시설자재가 필요하며 비닐하우스 구조용 강관(SPVHS, KS D3760)을 제외하면 시설자재의 표준화가 미흡한 실정이다. 시설자재의 표준화가 미흡하면 생산비가 증가하고 시장에 혼란이 발생하여 불량자재가 유통된다. 이로 인하여 구입 및 시공비용은 증가하며 결국 부실공사로 이어져 원예시설이 재해에 취약하게 된다. 이는 시설원예산업의 기반이 취약하게 되는 것이다.
시설자재산업의 표준화는 자재정보, 성능지표, 성능측정방법, 단가체계, 유통시스템 등의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다. 표준화는 시설에 투자하는 자재의 기준을 정하여 보다 효율적인 생산 시스템을 구축함과 동시에 온실 표준모델의 개발시간을 단축하고 보급되는 온실의 구조안전성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 재해를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차량ㆍ농기계 부품 표준화, LED조명 표준화, 모바일 RFID 기술 표준화 및 기록관리 표준화 등 사회 전 분야에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각 산업계가 공통적으로 투여해야 하는 자원의 기준을 정하여 보다 효율적인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데 있다.
시설원예 선진국인 네덜란드 온실의 설계는 유럽표준을 기준으로 하고 일본은 (사)일본시설원예협회에서 발행한 구조설계지침을 따른다. 또한 일본 농업ㆍ식품산업기술종합연구기구에서 시설 모델 및 자재 개발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시설자재 표준화는 단순히 자재의 정보나 성능 정보를 제공하는 수준으로 그쳐서는 안된다. 자재의 소재, 자재의 규격, 자재의 분류, 적용시설의 종류, 생산ㆍ판매 회사 등 제작 및 유통 표준화와 자재단가, 구매단위, 계약방법, 설치시방서 등 자재거래 및 시공방법 표준화, 그리고 시설자재를 적용한 원예시설의 성능 표준화, 유지관리 및 공용기간 중의 성능평가 표준화 등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이는 합리적이고 통일된 개념과 용어로 규격화함으로써 설계, 제작, 시공, 유지관리는 물론 시설자재 적용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궁극적으로 시설원예산업에 있어서 비용을 절감하고 인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해외시장 개척 및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08)에서는 시설자재 산업의 내수시장 규모를 약 1조 1,345억, 수출규모를 627만 달러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시설원예산업의 총생산액은 원예산업의 42%, 농축산업의 13%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에서 원예특작시설 내재해형 규격 설계도ㆍ시방서를 보급하고 있으며,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미래농업을 위한 시설모델 개발과 구조개선 연구, 시설 및 자재의 성능평가 표준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시설원예시험장에서는 연면적 1,700㎡의 시설구조자재 실험동을 구축하여 실물크기의 온실을 누르거나 당길 수 있는 각종 규격의 가력기, 재료시험기, 진동대 등의 실험장비를 내년에 설치 예정이다. 관련분야 대학, 연구기관, 산업체 등에 개방되므로 다양한 주제의 연구과제를 구성하여 연구시설을 활용할 수 있다.
■농진청 원예원 시설원예시험장 농업연구사 류희룡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