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채소류 농업관측
7월 채소류 농업관측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3.07.08 15: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7월 엽근채소 출하량 많아 가격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을작형 재배의향면적 배추·무·당근은 작년보다 증가, 양배추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념채소는 작황 양호하고 출하량 많아 가격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013년산 마늘·양파 생산량은 증가, 대파 작황은 양호할 것으로 보인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배추
△고랭지배추 생산량 평년보다 7% 많을 전망=6월 이후 봄배추와 준고랭지 1기작 배추 전체 저장량은 여름철 공급 불안에 대비해 저장 수요가 크게 늘어 작년보다 2배 가량 많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7월 출하량 작년보다 6% 증가 전망=7월 고랭지배추 출하면적은 작년보다 11% 감소하나, 단수는 작황이 양호하여 작년보다 9%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7월 배추 산지 출하량은 작년보다 3%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7월 산지 출하량이 감소하나, 저장량이 크게 많아 전체 배추 출하량은 작년보다 6%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8월 고랭지배추 산지 출하면적은 작년보다 3% 감소하나, 단수가 작년보다 2%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8월 산지 출하량은 작년보다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7월 도매가격 작년보다 낮을 전망=6월 말 현재 7∼8월 출하분 배추 평균 포전거래 가격은 각각 7,500원, 10,500원 내외로 작년보다 각각 20%, 11% 내외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7월 가락시장 상품 10kg(3포기)망당 평균 도매가격은 준고랭지 1기작 출하량이 작년보다 감소하나, 저장배추 출하량이 많아 작년보다 약간 낮고, 평년과는 비슷할 전망이다.
8월 배추 도매가격도 산지 출하량은 감소하나, 저장 출하량 증가로 작년보다 낮고 평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을배추 재배의향면적 작년보다 11% 증가=가을배추 재배의향면적은 작년 출하기 가격이 높아작년보다 11%, 평년보다 4%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어, 금년 재배의향면적은 14,842ha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무
△노지봄무 생산량 작년보다 13% 증가=노지봄무 재배면적은 작년과 평년보다 각각 5%, 8% 감소한 1,035ha 로 추정된다.
△고랭지무 생산량 작년과 평년보다 각각 17%, 23% 증가=고랭지무 재배면적은 작년과 평년보다 6%, 12% 증가한 2,710ha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작년 출하기 가격이 평년보다 높아 주산지인 강원지역의 배추 재배농가들이 고랭지무로 작목을 전환했기 때문이다. 지역별로는 강원이 작년보다 7% 증가하고, 호남과 영남은 각각 3%, 5%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7∼8월 무 출하량 작년보다 10% 이상 증가=7월 무 출하량은 작년 동월보다 1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7월 노지봄무 출하면적이 2% 감소하나 가뭄으로 작황이 매우 부진했던 작년보다 단수가 11% 증가하여 출하량은 작년보다 9%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7월 준고랭지무 출하면적은 작년보다 2% 늘고, 생육기 적절한 강우로 작황이 양호하여 단수는 작년보다 8% 늘어 준고랭지무 출하량은 작년보다 11%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8월 고랭지무 출하면적은 작년보다 2% 늘고 단수가 13% 증가하여 출하량은 작년보다 15%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7월 도매가격 작년이나 평년보다 낮을 전망=6월 고랭지무 평균 포전 거래 가격은 출하량 감소에 따른 가격 상승 기대로 3.3㎡당 11,000~ 13,000원 거래되어 작년보다 1,000원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7월 무 상품 18kg당 가락시장 평균 도매가격은 출하량 증가로 작년이나 평년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8월 무 도매가격은 고랭지무 출하량 증가로 작년 및 평년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여름철 기상여건에 의해 출하량과 가격이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마늘
△마늘 생산량 전년보다 9% 증가 전망=표본농가 조사 결과, 마늘 작황은 전년보다 좋고, 영남지역 작황이 전월보다 크게 호전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3년산 마늘 단수는 전년보다 5% 증가하고,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지형 마늘 단수는 전년과 비슷하나 난지형은 전년보다 6%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난지형 마늘은 남도와 대서마늘 모두 예상단수가 전년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도마늘 예상단수는 주산지 작황이 좋아 전년보다 7% 내외 증가하고, 대서는 초기 작황이 좋지 않았으나 기상여건이 좋아 빠르게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7월 가격 전년, 평년보다 낮을 듯=7월 난지형 마늘 상품 kg당 평균 도매가격은 국내산 마늘 생산량 증가로 전년 및 평년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마늘 입고의향 감소, 관망세 지속=저장업체 조사 결과(6. 20), 현재까지 마늘 입고 의향은 마늘 가격 하락 우려 등으로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마늘 입고의향은 ‘증가’가 전월 조사보다 3.5%p 늘었으나 50% 이상이 ‘감소’ 또는 ‘미정’으로 나타났다.
6월 말 저장업체 입고 예상가격은 전년보다 20%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양파
△2013년산 단수 전년보다 14% 증가=금년산 양파 10a당 수확량은 전년보다 14%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만생 생산량 전년 및 평년보다 많아=금년산 양파 재배면적(20,036ha)에 예상단수(6,522kg/10a)를 적용한 양파 생산량은 전년보다 9% 많고 평년보다 3% 적은 약 130만 7천 톤으로 추정된다.
△중국 양파 가격 하락세 전환=6월 1~25일 양파 수입량은 신선양파 1,090톤(전년 120톤), 건조양파 150톤(전년 100톤), 냉동양파 660톤(전년 180톤)이다.
이를 신선양파로 환산할 경우 3,810톤으로 전년 동기(1,670톤)보다 2배 많으나, 전월 대비 73% 감소하였다.
6월 말 중국 양파 산지가격은 2013년산 산동성 중만생 양파가 본격 출하되어 전월보다 크게 하락한 톤당 250달러(1,500위안)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중국 산동성의 2013년산 중만생종 재배면적은 2012년산 가격 상승으로 전년보다 증가하고 기상호조로 작황도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어 중국 산지 가격은 약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7월 가격 전월 대비 하락 전망=7월 양파 도매가격은 중만생 양파 생산량 증가로 전월 및 전년 동기보다 낮고 평년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파
△7월 출하량 전년 동월보다 13% 증가=7월 출하면적이 전년 동월보다 5% 증가하고 단수도 전년보다 7%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어 출하량은 13%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7월 출하지역의 정식기(3월)에 가격이 전년보다 46% 높아 정식 면적이 전년 동월보다 6%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7월 단수는 고온 및 가뭄으로 작황이 좋지 못했던 전년 동월보다 7%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흑색썩음균핵병, 백납 등 병충해가 일부 관찰 되고 있으며 관리가 미흡할 경우 번질 가능성도 있어 변동 가능성이 있다.
△7월 도매가격 약세 지속=7월 대파 출하량이 전년 동월보다 13% 많아 7월 도매가격은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경기지역의 노지대파가 7월 중순 이후 본격 출하되어 전월보다 출하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7~8월 정식의향 전년보다 3% 증가=7~8월의 대파 정식의향면적은 전년 대비 3%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당근
△고랭지당근 재배면적 작년보다 16% 감소=고랭지당근 재배면적은 작년 및 평년보다 16% 감소한 136ha로 추정된다. 추정 면적에 평년 단수를 적용한 고랭지당근 생산량은 3,700여 톤으로 작년과 평년보다 16%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 
△7월 출하량 작년보다 4% 감소=7월 봄당근 출하면적은 재배면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노지봄당근 저장입고 작업이 병행되면서 작년보다 2%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7월 봄당근 단수는 생육기 저온 및 가뭄 피해(경남 양산지역)로 상품성이 저하되어 작년 동월보다 7%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출하면적과 단수를 적용한 7월 봄당근 출하량은 작년 동월보다 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금년 봄당근 저장의향은 작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봄당근 재배면적 증가로 생산량이 작년보다 많은데다, 봄당근의 도매가격이 예상보다 낮아 출하주들이 시장출하보다 저장입고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7월 도매가격 보합세 전망=7∼8월 당근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노지봄당근 저장작업이 병행되면서 출하조정이 이루어져 작년과 평년보다 약간 높은 6월 하순 가격의 보합세로 전망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