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산업 일류 농산업으로 인식해야”

원예농업은 생태환경조성이라는 큰 장르 속에서 먹거리와 볼거리의 추구하는 진정한 농산업의 핵심이다. 변화하는 추세에 맞는 농업정책이 추진되기 위해서는 모든 분야를 내포하는 원예산업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시대의 변천과 이에 적응해야 하는 삶의 방향은 밥(생산)만으로 살 수 없기에 빵(가공)을 찾고 빵을 먹는 장소로 분위기(서비스)를 찾는 것이다. 권상준 회장은 “원예산업을 복합적인 일류 농산업으로 인식하고 중요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위상 강화는 새로운 생각과 국가적인 차원으로 시도해야 한다"고 전했다.
기존의 과수농협연합회는 농업인의 조직체이지만 농협에 가입된 조합원만이 수혜를 얻어 조합원이 아닌 농업인은 상대적으로 소외를 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해 권 회장은 “모든 농업인들이 함께 하는 품목별 연합조직이 결성된 만큼 해당품목에 대한 조직체의 관리강화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전체 농업인이 생산하는 농산물이나 필수 농자재에 대한 일정비율의 합산에 의한 자조금 확보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선택과 집중을 한다면 대내외 경쟁력은 물론 소비자 인지도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FTA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저비용 고효과를 공유하는 농업현장이 필요하다고 전언했다.
세계화, 국제화로 변화하고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농업 현실 또한 어렵다. 특히 FTA체결은 생명산업인 농업을 한층 더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지만 준비가 되지 못한 상황에서는 풍전등화일 수 있다. 권 회장은 “더 악조건에서도 굳건히 일어섰던 지난날의 무수한 역사가 있다"며 “혼자가 아닌 서로가 공동전선을 구축한다면 그 어떤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다"고 전했다.
또한 생산자는 생산의 위치에서 정책 입안자는 농업인의 입장에서 생산현장의 어려움을 최소화하는 대책을 강구, 입안해 추진한다면 국제시장에서 우리 농업의 위치는 견고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임진왜란에서도 모든 병사가 하나로 결집했기 때문에 생존했다"며 “이러한 시대적 정신으로 합심한다면 위기의 FTA도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라고 전했다.
원예산업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원예산업신문이 해야 할 일은 현장중심의 보도라고 제언했다. 어떤 일 이던지 현장을 보지 않고서는 그 분야를 알 수 없다. 권 회장은 “원예산업신문은 현장중심, 현장을 방문하는 언론사"라고 밝히면서 “현장 속에서 함께하는 언론은 더 없이 값진 농업인의 대변자가 되고 원예산업의 위상을 높일 것"이라고 전했다.
/김진호 기자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