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농기원, 탄저병·둥근무늬낙엽병 발생 막아줄 것 당부

탄저병 발병은 주로 어린가지나 과실에 발병하며, 병원균은 분생포자로 빗물에 의해 전염된다고 했다.
침입한 분생포자는 7~10일 정도 잠복기를 거친 후 병반이 어린가지나 과실에 나타나고, 가지에는 7월부터 웃자람이 강한 새 가지에 주로 발병되어 1차 전염원이 되며, 과실에는 흑색 병반이 생기어 대부분 떨어 진다며, 초기방제를 실패하면 생육후기에는 수관내부가 더욱 복잡해져 방제가 어려워 피해가 크다고 했다.
둥근무늬병 발병은 감 재배지 어느 곳이든 발생하는 병으로 해마다 큰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단 발병하면 방제가 어려우므로 자낭포자가 날아서 퍼지는 시기인 6월에 예방 위주로 방제해야 한다고 했다.
김세종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시험장 장장은 “초기 관리가 감 작황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며 “탄저병, 둥근무늬낙엽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꽃이 진후 약제방제를 실시하며, 장마기에는 강우 조건을 고려해 강우 이후 2∼3일 이내 약제방제를 실시하고 흰가루병도 동시에 방제할 수 있는 약제를 선택하며 깍지벌레 방제”도 당부했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