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은 올해 도내 농작물에 대한 병해충 발생상황은 병해는 줄고 있는 반면, 해충은 더운 날씨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세대기간이 단축됨에 따라 발생이 늘고 있다고 밝혔다.따라서 최근 고온다습한 기후가 지속되는 점을 감안해 사전방제가 필요할 경우, 벼농사는 물론 수확을 앞둔 사과, 배 등 과수에까지 정밀예찰에 의한 병해충 방제활동을 강화하도록 농가에 당부하고 있다.농업기술원은 지금까지 무더위로 방제가 소홀했던 일부 과수원에서 사과갈색무늬병을 비롯하여 겹무늬썩음병, 점무늬낙엽병 등 병해가 발생할 수 있고, 앞으로 고온이 지속될 경우 빠르게 확산될 수 있기 때문에 투광과 통풍이 잘되도록 웃자란 가지를 정리하면서 병해충 발생상태를 잘 관찰하여 비가오기 전후에 동시방제가 되는 살균제로 충분한 양을 살포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또한 고온이 계속되면 응애류의 발생이 급격히 늘어나므로 잎하나에 2~3마리 이상의 응애가 발견되면 즉시 적용약제를 살포하되, 응애류는 약제에 대한 내성을 갖게 되므로 계통이 다른 약제를 바꿔가며 이용하는 것이 방제에 효과적이라고 밝히고 있다.한편, 기상청이 발표한 기상전망에 따르면 태풍의 영향으로 비소식이 있기는 해도 당분간 무더위는 이어지면서 간간히 국지적인 집중호우도 예상된다고 전했는데, 병해충 적기 방제와 함께 기상재해에 대비한 포장관리도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이고 있다.이에 농업기술원은 수확기를 앞두고 있는 과수원이 비바람에 피해를 입지 않도록 배수로를 정비하고 연약한 나무나 과일이 많이 달린 가지에는 받침대를 세워 가지가 부러지거나 찢어지지 않도록 하는 등 사전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