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기관
USA 농무부 USDA, 독일 Glessen 대학, 프랑스 INRA, ITCF
대한민국 한국무경운농업연구회
■ 연구내용
현대는 지구적 차원에서 친환경은 모든 기술의 핵심으로 대두되었으나 경운은 거의 필수적인 농업과정이다. 농업에서의 현대화를 이룬 것은 경운작업의 기계화라고 할 수 있다. 경운은 친환경측면에서는 치명적인 약점이기도 하지만, 효율과 노동력절감을 위해서는 기계화가 불가피한 과정이다. 즉, 기계화 되어 획기적인 효율과 노동력 절감효과를 이루어 다목적 농업기계인 트랙터 없이는 농작업을 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농작업의 필수과정인 경운작업을 생략하여 이른바, 무경운농법이 개발되었다. 무경운기술은 노동력과 에너지절감이 가능한 친환경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USA 연구결과는 무경운 재배는 기후변화에도 수확량이 유지된다고 보고(USDA)하고 무경운 농법은 토양생태계 및 유기물 보존, 토양수분유지, 잡초억제와 노동력 및 화석연료 절감으로 경제성이 높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무경운 재배+헤어리베치 피복은 옥수수의 천연질소 공급원으로 90∼100kg/ha의 질소질비료의 사용량 감소하고 무경운은 경운에 비하여 토양의 탄소격리효과가 현저히 높다고 보고하였으며 Central Great plains(중앙대평원)에서는 무경운하는 것은 물의 절약, 보존하고 기후 변화로 인한 손실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였다.
2005∼2010년까지의 수확량을 추정한 결과 밀 재배에서 무경운 재배방법이 경운재배에 비하여 밀 수확량을 높게 유지한다고 보고하였고, 무경운은 탄소를 저장하고 표토가 빗방울에 견디는 힘을 2∼7배 강화, 바람과 강우에 의한 토양침식을 예방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몬산토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무경운농법을 실천하는데, 무경운 농가들은 시카고기후거래소(CCX : Chicago Climate Exchange)를 통해 기업에 탄소상쇄분량을 판매하여 경제적 혜택을 확보하였으며 2005년 무경운 농법을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량은 차량 400만대 배출량과 같다고 한다.
이러한 효과가 인정되어 USA의 Great plains(대평원)에서는 1974년 220ha에서 2000년에는 6200만 ha로 농경지의 18%로 증가하였으며 2020년 USA 전체 농경지의 약 75%이상이 무경운으로 전환할 예정이라고 하며 브라질에서도 1998년 무경운 재배면적이 840만 ha로 증가하고 있다.
독일에서도 Glessen 대학에서 1997년 18년간 장기연구 결과로 무경운은 경운보다 저렴한 운행비용 때문에 유익하다고 보고하였고 이외에도 프랑스, 스페인에서 무경운의 장점을 보고하였다. 일본에서는 무경운재배에 있어 적합한 작물로 토마토, 브로콜리, 오크라, 호박, 피망, 가지, 오이, 완두 등을, 가능한 작물로 감자, 토란을 분류하고, 곤란한 작물로 엽근채류인 고구마, 우엉, 무, 당근, 배추, 시금치를 분류하였다. 무경운은 생태학, 경제적 측면, 고랭지 토양침식 방지 등 친환경측면에서 활용이 기대되며 다양한 작물의 연구가 필요하다.
■ 국내 기술수준과 전망
국내에서도 무경운 2년차에서는 토양 물리성, 이화학성이 개선되고 토양미생물상이 현저하게 개선되고 미소곤충도 많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무경운에 의한 고추, 멜론, 토마토, 배추 등에서 노동력 등 경영비는 감소하고 수확량이 증가 된다는 획기적인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무경운 농산물의 탄소절감이 고추, 방울토마토는 69%, 배76%, 배추 90% 절감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2012, 농업기술실용화재단).
특히 무경운농법이 시설원예작물에 응용된다면 경운이 필요 없어지면서 다른 작물에 비하여 지주, 멀칭 등 시설물의 반복설치 비용의 획기적인 절감효과는 물론, 농업이 안고 있는 노동력의 감소로 이른바, 3D업종의 원인을 줄이는 효과도 예상된다. 앞으로 무경운 재배는 친환경 농업기술로서 작목별 작부체계, 양수분 관리, 공익적 기능분석 등 연구개발이 기대된다.
■ 참고문헌 및 사이트
● 1997. Earthworm activity in no-tillage and conventional tillage systems in missouri soils: A preliminary study. Soil Biol. Biochem. 29: 489-491.
● Yang, S. K., M. K. Kim, Y. W. Seo, K. J. Choi, S. T. Lee, Y. S. Kwak, and Y. H. Lee. 2012. Soil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of between no-till and tillage in a controlled horticultural field.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8: 1797-1801.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제20권 제3호, 2012.9, 411-422
● USA USDA-ARS Central Great Plains Research Station
● http://www.notill.or.kr
■ 자료제공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농업연구사 남춘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