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최근 생물다양성의 보고이자 농촌체험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는 습지를 조성하거나 복원할 때 지자체와 농촌마을에서 미리 꼭 알아두어야 할 사항을 정리해 제시했다.
우선 습지 조성을 위한 위치 선정이 필요한데 가장 좋은 곳은 과거에 습지였던 곳이다. 다음으로 하천 등 물과 가까운 곳, 점토질의 흙이 많은 곳, 경사가 완만한 곳, 지하수가 샘솟는 곳 등이 습지를 만들기에 괜찮은 곳이다.
자리 선정에 이어 어떤 재료를 이용할 것인지가 고려돼야 한다. 해당 지역에서 자연적으로 구할 수 있는 재료나 새끼줄, 진흙 등 천연재료를 이용해 생물의 적응력을 높이고, 덤불과 돌무더기, 목재 등을 설치해 생물에게 은신처를 제공해야 한다.
수문의 구조는 하천 등 흐르는 물이 천천히 들어왔다가 넓게 분산돼 배출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또한 생물의 이동에 방해가 되는 급경사나 콘크리트 시공은 되도록 피해야 한다.
습지에 식재할 수 있는 식물로는 △부레옥잠과 같은 부유식물 △붕어마름, 나사말 등 물속에 잠겨 있는 침수식물 △수련처럼 입만 물 밖에 띄우는 부엽식물 △부들과 같이 물가에서 자라는 정수식물 △갯버들, 꽃창포 등 물 바깥에서 자라는 습생식물 등이 있으며 서식환경과 용도에 맞게 심으면 된다.
‘관찰로’의 높이는 생태체험용 습지일 때 수생생물 관찰이 쉽도록 수면과 30cm 정도로 설치한다. 또한 사회적 약자를 위해 휠체어, 유모차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완경사 진입로와 점자와 음성안내시설, 장애인 화장실의 설치도 고려해야 한다.
한편, 농촌 습지는 인식 부족으로 대부분 매립되거나 방치돼 왔으나 최근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농촌의 생물자원 확보가 주목을 받으며 새롭게 조성되거나 복원되는 추세다.
농진청, 습지 조성시 필요한 방향 제시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