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강원지역의 비 피해로 고랭지 채소 출하량이 감소했다. 고랭지 배추·무는 집중호우로 출하대기면적의 14~15% 내외로 피해가 발생, 8월 출하량 당초 예상과 달리 작년보다 감소로 전환될 듯하다. 고랭지 당근은 면적감소와 호우피해가 겹쳐 출하량이 예상보다 크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랭지 양배추는 출하량 증가가 예상되었으나, 호우피해로 감소로 반전됐다. 고랭지 감사는 면적감소와 함께 유실·매몰 피해(26%)로 8월 출하량이 크게 감소할 전망이다. 마늘가격은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김치 수입증가와 시장거래 부진으로 작년보다 약세로 전망된다. 대파는 호우피해가 있었으나, 여름대파 면적의 전국적 증가로 8월 가격은 작년보다 크게 하락할 듯하다. 쪽파 출하량 증가로 8월 가격 평년보다 낮을 듯하다. 금년산 양파 생산량과 저온저장량 감소로 8월 가격은 작년보다 높을 듯하다. 금년산 고추도 생산량 감소로 수확기 가격 강세가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배추△호우피해로 8월 출하량은 감소로 반전=7월 중순 강원지역 집중호우 피해면적은 전체 출하대기면적의 15% 내외로 나타났으며, 인제, 평창, 횡성 등 영서지방의 피해가 영동지방보다 컸던 것으로 조사되었다.고랭지배추 8월 출하면적은 당초 재배면적 증가로 1% 늘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집중호우로 출하가능면적이 줄어 작년 동기보다 10%(상순 8%, 중순 12%, 하순 1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랭지배추 8월 단수는 작년 동기보다 7%(상순 5%, 중순 18%, 하순 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고온피해가 작년 동기보다 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출하면적과 단수 감소로 고랭지배추 8월 출하량은 작년 동기보다 17%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8월 가격은 평년보다 높을 전망=고랭지배추 포전거래는 집중호우 이전까지 매우 부진하였으나, 최근에는 8월 중순 이후 출하 물량을 중심으로 평당 8,000~10,000원에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작년 동기보다 33~43% 높은 가격이다. 배추 8월 상품 10kg당 도매가격은 출하량 감소로 평년 동기보다는 8% 높은 5,500원(440만원/5톤트럭)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장마 이후 고온피해가 커 질 경우 가격은 예상보다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가을배추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증가 전망=금년 가을배추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소폭 많으나, 평년보다는 9% 감소한 11,400ha 내외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월동배추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증가할 듯=월동배추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작년 월동배추 출하기 가격이 높아 마늘, 감자, 파 등에서 작목 전환할 농가들이 많기 때문이다.■무△호우피해로 8월 출하량은 감소로 반전=7월 중순 강원지역 집중호우 피해면적은 전체 출하대기면적의 14% 내외로 나타났으며, 인제, 양구, 평창, 홍천등 영서 지방의 피해가 영동지방보다 컸던 것으로 조사되었다.고랭지무 8월 출하면적은 당초 재배면적 증가로 4% 늘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집중호우로 출하가능면적이 줄어 작년 동기보다 9%(상순 8%, 중순 10%, 하순 7%)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랭지무 8월 단수는 작년 동기보다 7%(상순 6%, 중?하순 8%) 적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고온피해가 작년 동기보다 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출하면적과 단수 감소로 고랭지무 8월 출하량은 작년 동기보다 1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8월 가격은 작년보다 높을 전망=고랭지무 포전거래는 집중호우 이전까지 매우 부진하였으나, 최근에는 평당 10,000원 이상의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무 8월 상품 18kg당 도매가격은 출하량 감소로 평년 동기보다 26% 높은 10,000원(460만원/5톤트럭)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장마이후 고온피해가 커 질 경우 가격은 예상보다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가을무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증가 전망=금년 가을무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소폭 많으나, 평년보다는 20% 감소한 9,100ha 내외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월동무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증가할 듯=제주도청의 월동무 재배의향 조사결과, 금년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6%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출하기 가격이 높았기 때문이다.■고추△최근 장마 영향으로 고추 생육상황 나빠져=금년산 고추 재배면적은 작년산보다 8%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농촌진흥청의 금년산 고추 생육상황 조사결과, 최근 장마의 영향으로 상육상태는 작년보다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당 주수는 작년에 비해 적고, 초장은 0.3㎝ 크며, 주당 착과수는 4개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금년 고추 생산량은 작년보다 감소 전망=회차별 단수를 고려한 금년산 고추 단수는 작년보다 9%(초벌 단수 10%, 두벌과 세벌 이후 각각 8%) 감소한 240kg내외로 예상된다.이는 잦은 강우로 고추 생육상태가 작년보다 좋지 않기 때문이다. 수확